육두구의 저주 - 지구 위기와 서구 제국주의
아미타브 고시 지음, 김홍옥 옮김 / 에코리브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식민주의 역사적 모델이 정착형 식민주의 모델과 매우 달랐던 인디아는 오늘날 자국을 정착형 식민주의 이미지로 재건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322~323)

 

마지막 총탄 한 발이 남았을 때, 왜놈과 부역자 조선 놈 중 누구를 쏘겠느냐 물으니 백범 김구는 당연히 부역자 조선 놈을 쏜다고 했다. 이민족이야 이민족이니까 그럴 수 있다 치더라도, 제 민족을 수탈하고 살해하는 일에 잔악한 앞잡이 노릇을 하는 일은 그 자체 패륜성이 엄중할 뿐만 아니라 당하는 이가 겪는 심적 황폐화를 극대화한다는 점에 유념한 말이 아닐까, 생각한다.

 

일제가 항복하고 나서 그 식민지인 조선에 진주한 점령군이 실시한 군정은 일제 조선총독부 체제를 유지·온존하고, 그 위에 제국 본진 USA 체제를 얹었다. 체제는 거대한 시스템만을 말하지 않는다. 사적 통로로도 깨알같이 조선 전통을 잠식해 들어가 속속들이 붕괴시켰다. 예컨대 콜로라도 출신 공군 대위가 음악교육 기초를 놓은 결과 USA 자국민도 잘 모르는 포스터가 조선 아이들에게 명망가가 되고 <콜로라도강의 달밤>은 명곡이 되었다. 나 또한 어린 시절 포스터 노래를 참 많이도 불렀다. 이런 기조는 지금까지 불변이다. 아니. 갈수록 강경이다.

 

일제 식민지 시대 특권층 부역 집단이 그대로 군정을 거쳐 이승만 정권을 장악하면서 다시 그대로 USA 식민지 체제에 부역했고, 박정희 쿠데타 이후에는 조국 근대화로 위장한 식민지 심화 작업에 팔 걷어붙이고 나섰으니 당연한 일이다. 이 나라 부동산 투기 원조는 정치자금 마련하려고 강남을 아파트로 테라포밍한 박정희다. 거기서 시작된 각종 토건은 오늘까지도 자국 식민주의 선봉이다. 고층 빌딩, 아파트, 고급 빌라, 별장, 전원주택들이 토착민을 내쫓고 부역자 떨거지를 정착시킨다. 이쯤 되면 대한민국 특권층 부역자가 스스로 부여한 항구적 임무가 자국을 정착형 식민지 이미지로 재건하는 일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여기서 우리는 백범이 한 말을 다시 떠올린다. 그가 도리어 이승만 마름이 쏜 총탄에 스러졌다는 사실도 떠올린다.

 

정착형 식민주의라는 말은 분명 낯설다. 하루하루 살기 바쁜 소시민에게 살갑게 다가들지 못한다. 일상에서 이 말 실재를 감지하기란 여간 어렵지 않다. 언어가 지니는 함의를 추적하기보다 상징이나 은유로써 직관적 이미지를 구축하는 편이 쉽다. 가령 대통령 취임식에 박근혜가 입고 나왔던 카키색 황군 정장 이미지는 지지자에게 아무런 언어적 설명 없이도 대뜸 존숭 감정을 일으킨다. 그 존숭 감정은 당연히 일제에 대한 충성심이 독립된 대한민국에 대한 토착 충성심을 내쫓고 정착하게 만든다. 정착은 사람이 실제로 땅에 뿌리 내리는 일에 국한되지 않는다. 가장 중요한 정착 가운데 이미지로서 사투리가 있다. 이 나라 특권층 부역 집단이 토착 표준 한국어를 내쫓고 정착시킨 사투리가 셋이다: 미국식 영어, 일어, 신라어. 미국식 영어는 USA 사투리고, 일어는 일제 사투리고, 신라어는 영남, 특히 TK 사투리다. 그중 신라어는 요즘 심지어 뉴스, 예능, 드라마, 영화에서 끈질기게 야금야금 정착하고 있다. 귀 밝은 자 듣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