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두구의 저주 - 지구 위기와 서구 제국주의
아미타브 고시 지음, 김홍옥 옮김 / 에코리브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후 변화를 둘러싼 통계구조는 여론 조작에 초점이 맞춰진다. 1인당 탄소발자국이라는 개념이 한 가지 좋은 예다.···이 척도···상당수는 미국 데이터를 사용한다. 미국 데이터는 일관되게 미국 1인당 탄소발자국 규모를 과소비···탓으로 돌린다. 이런 틀 짓기에서 기후 변화는 개인 책임과 소비자 선택 문제로 왜곡된다.

  당연히 이 그래픽과 도표는 미군 관련 기관이나 미국 권력이 개입한 기관 배출을 누락시킨다.···에너지 거대 기업 BP(British Petroleum)가 자금을 댄 연 1억 달러 광고 캠페인이기 때문이다. 이런 대규모 브랜딩과 광고 캠페인은 기후 영향에 대한 책임을 개인에게 지우고” “기후 변화가 당면한 현실이 아니라 미래 위협이라고 생각하는 견해를 유도하려는 목적에 봉사한다.(210~211)

 

기후 변화를 기술·경제 중심 미래 관심사로 치부하는 짓은 대체로 부국, 그 가운데 특권층이 저지른다. 부국이든 빈국이든 가난한 사람들에게 기후 변화는 인종·계급·지정학과 관련한 역사에 뿌리내린 정의 문제다. 이런 관지에서 기후 협상은 그저 배출량이나 온실가스 문제가 아니다. 여태 논의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논의하지 않을 가능성이 큰 현안, 그러니까 궁극적으로는 세계체제 권력 배치 문제다.(220~221)

 

특권층 부역자 정권이 들어선 직후부터 높은 무역 적자를 기록하면서 경제가 흔들거리자 특권층 부역자 언론조선일보가 과소비를 질타하고 그 근원에 전 정권 포퓰리즘이 있다는 bullshit을 날린 바 있다. 싸잡아 개돼지책임으로 돌리는 전형적 제국 어법이다. 식민지 시대에 배운 협잡을 식민지 후기 시대에도 그대로 써먹고 있으니 일관된다는 점만큼은 칭찬할 만하다. 물론 여전히 저들 조국은 일본 제국이라 충성심 때문일 테니 당연하기도 하다.

 

문제 책임을 개인에게 지우는 이 못된 짓거리는 필연적으로 당면한 현실이 아니라 미래 위협이라고 생각하는 견해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현 정권이 잘못하지 않았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따라서 당장 해결할 필요는 없다는 쪽으로 비틀어야 하기 때문이다. 현 정권에게 당장 해결할 능력, 아니 그럴 의지가 아예 없다는 사실을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망하는 일과 일본 흥하는 일이 같다는 계산 서 있으니 웃고 싶은데 간지럼 태우는 형국이다.

 

무역 적자 문제를 경제 중심 미래 관심사로 치부하는 짓은 대체로 부역자, 그 가운데 특권층이 저지른다. 가난한 식민지 사람들에게 무역 적자 문제는 민족·계급·지정학과 관련한 역사에 뿌리내린 정의 문제다. 이런 관지에서 무역 적자 문제는 그저 수출입이나 적자 폭 문제가 아니다. 여태 논의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논의하지 않을 가능성이 큰 현안, 그러니까 궁극적으로는 식민지 후기 체제 권력 배치 문제다.”

 

억지처럼 보이는 이 진지한 패러디는 오늘날 지구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일 가운데 제국주의 역사와 현 세계체제 권력 배치가 일으키는 현안으로서 정의 문제가 아닌 경우란 없다는 사실을 전달하기 위한 소박한 수사다. 얄팍한 감각이라 할지라도 중첩 식민지 저 반대편에 서 있는 자들을 생각하면 베꼈다고 한들 감수 못 할 일이겠는가. 절박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