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두구의 저주 - 지구 위기와 서구 제국주의
아미타브 고시 지음, 김홍옥 옮김 / 에코리브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태 변화에 가장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은 대개 변두리에 있는 이들이고, ··물과 맺는 관계에서 기술문명 영향을 최소한으로만 받는 이들이다.···하지만 이런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가난하며 정보를 전파하는 네트워크에 접근하지 못한다. 사실 그들은 사회적 스펙트럼에서 세계적 학자나 과학전문가 정 반대편에 놓여 있다.

  ···기후 변화에 관한 우리 첫 번째 메시지가 변두리 농부나 먼 길 걸어야 물 길어다 먹을 수 있는 여성이 아니라 과학자에게서 나오는 이유는 그들이 무슨 사태가 벌어지고 있는지 알아차리는 유일한 존재라서가 아니다. 그보다 그들이 세계적으로 권력을 휘두르는 사회 내에서 좀 더 가시적인(visible) 존재기 때문이다. 슬프게도 변두리 농부나 먼 길 걸어야 물 길어다 먹을 수 있는 여성은 그들이 사는 사회에서 너무나 가장자리로 밀려나 있는지라 좀처럼 가시적 존재가 되기 어렵다.(210)



2017822<녹색 의학 이야기를 시작하며>에서 이렇게 말한 기억이 있다.

 

“···2016년 여름 더위는 대단했다. 한의원 냉방기기가 맥을 못 추었다. 환우들의 불편이 이만저만 아니었다. 그 여름이 다 갈 무렵, 한 가지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6년째 세 들어 있는 한의원 건물이, 여름에는 창문을 통해 직사광선이 들어오지 않고, 겨울에는 그 반대여서 신의 한 수라 여기며 좋아했다. 작년 여름, 비로소 알아차린 사실인데, 창문으로 직사광선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지구 자전축이 변하지 않고서야 어찌 이런 일이 일어날까, 혹 그렇다손 치더라도 어떻게 일상에서 이리도 선명하게 감지될 수 있을까, 의심했으나 그땐 그냥 지나쳤다.

 

사실은 그대로 사실이었다. 북극점이 최근 10여 년 동안 1m가량 동쪽으로 이동했다. 북극점 이동은 북극 얼음이 녹으면서 지구 전체의 무게 배치가 바뀌어 일어났다. 이 사실을 아는 순간, 내게는 어떤 묵시록적 베임의 감각이 일어났다. 날카로운 통증이 하나의 옹골찬 각성을 일으켰다. 물론 이전부터 기후 변화를 포함한 생태학적 문제에 등한하지는 않았지만, 와락! ‘녹색의 화두를 정색하고 들어야겠다는 절박함이 살을 찢고 들이닥쳤다는 말이다.”

 

변두리 사람은 이론이나 사변으로 접근·소통하지 않는다. 이를테면 신체 직관이랄 수 있는 감각이 우선한다. 그리고 그 감각은 구체적·일상적 생활 한가운데서 형성된다. 내가 직사광선에 섬세한 지각력을 지니게 된 까닭은 환자가 느낄 불편함을 먼저 알아차려야 하는 임상의기 때문이다. 특히 가난한 동네 진료소는 의학 외적 요소들이 오히려 더 깨알같이 영향을 미친다.

 

생태·기후 변화 문제라고 다르랴. 과학자가 세운 깃발이 변두리 생활인 깃발과 같을 리 만무다. 정확히 말하면 후자는 가시적인(visible) 존재가 아니므로 아예 깃발 자체가 없다고 해야 맞다. 없는 깃발을 보는 눈이라야 제국 발 마케팅 과학을 찍어내며 볼 수 있다.

 

마케팅 과학은 이익 창출을 위해 진실을 도구화한다. 도구화된 진실은 네트워킹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부분에 머무른다. 부분은 오류다. 오류 권력체제가 제국이다. 제국을 거절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