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두구의 저주 - 지구 위기와 서구 제국주의
아미타브 고시 지음, 김홍옥 옮김 / 에코리브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날 우리가 자본주의라고 부르는 경제 체제를 만들고, 그 체제가 주도권을 잡도록 이끈 구조는 다름 아닌 서구 정복 전쟁과 제국주의였다. “미주대륙 토착민에 대한 제노사이드가 유럽을 위한 현대 세계 출발점이었다. ·남미가 멸망하지 않았다면, 유럽은 훨씬 더 풍요로운 문명 본거지 대륙인 아시아 뒷마당 그 이상 존재가 되지 못했음이 틀림없다.”···

  자본주의를 둘러싼 또 한 가지 뿌리 깊은 신화는 중요한 시장경제 특성이 유럽 주요 지역에 기원을 둔 역사적 발전에서 비롯했다는 믿음이다. 자본주의가 강압적 노동보다는 자유로운 노동에 기반을 두고 있는 만큼 유럽 봉건적 과거와 철저히 결별했다는, 따라서 진보와 혁신 능력을 보여준다는 생각 또한 그만큼이나 뿌리 깊다.

  ···자본주의는 결코 서구에서 유래하지 않았다. 정복 전쟁과 미주대륙 토착민과 아프리카인 노예화야말로 자본주의 형성에 이바지한 결정적 요인이었다. 자본주의가 자유노동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말도 사실이 아니다.···자본주의는 요컨대 제국주의 부수적 결과였다.

  그렇다면 자본주의는 왜 그토록 지정학적 맥락이라는 현실에서 분리, 추상화됐을까? 자본주의를 한 시스템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서구 근본주의 편향은 사악한 진면모를 감추려는 방편이다(세드릭 로빈슨). 이를 통해 우리는 서구 지식인과 학자 담론이 인종차별주의, 제국주의, 그리고 세계 권력 위계를 지탱하는 조직적 폭력구조를 본격적으로 다루기보다 추상적 경제 체제에 대해 논의하는 데 더 편리하도록 기획돼 있음을 알 수 있다.(166~171)

 

스티브 테일러는 자아폭발-타락-에서 현대 민주주의 발원지가 그리스 아닌 이로쿼이 동맹이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로쿼이 동맹은 북미대륙 일부 토착민 국가 간 평등 연방제다. USA가 입헌 과정에서 핵심을 제거한 이로쿼이 정신을 벤치마킹했다. 감사는커녕 그마저 속였으니 정확히는 훔치기라고 해야 옳다.

 

민주주의를 훔쳤듯 자본주의도 훔쳤다. 민주주의 절도와는 달리 다른 인종을 차별하고, 죽이고, 그들 삶 네트워킹 전반을 빼앗는 범죄 실행 과정에서 누적된 knowhow를 마치 제집에서 발명한 듯 거짓말하는 방식으로 훔쳤다. 훨씬 더 잔혹하고 야비한 절도 행각이다. 자본주의 절도는 여기서 끝나지 않으니 더 문제다.

 

인종차별 자본주의, 전쟁 자본주의, 압제 권력 자본주의라는 진실을 은폐하려 서구 지식인과 학자들은 작당하고 자본주의를 추상적 경제 담론으로 환원했다. 모든 문제를 경제 서사로 묶으면 정작 중요한 가치와 윤리가 매끈하게정리된다. 매끈해진 문제, 아니 인간은 납작한 지폐로 처리하면 그만이다. 그뿐이다.

 

이 프로젝트 표본이 한국이다. 과잉 경제화가 공동체를 파괴하고 돈을 좇는 집단과 각자도하는 개인만 남겨놓았다. 돈 없으면 근본 없는 이 된다. 돈만 있으면 과잉 사법화된 세상에서 안전 사서, 과잉 의료화된 세상에서 건강 사서, 과잉 언론화된 세상에서 bullshit 사서 떵떵거리며 산다. 특권 부역자 천국이다.

 

자본주의는 그저 제국이 남긴 찌꺼기일 뿐이다. 자본주의 타도한다고 평등세계 오지 않는다. ‘민주주의는 그저 제국이 던진 미끼일 뿐이다. ‘민주주의사수한다고 자유세계 오지 않는다. 문제는 제국이다. 아직도 제국적 시야를 부추겨 대접받는 사기꾼들이 득실대는 이 나라 지성 판에 나는 다만 합장 한번 하고 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