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두구의 저주 - 지구 위기와 서구 제국주의
아미타브 고시 지음, 김홍옥 옮김 / 에코리브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사 대부분에서 전쟁은 인간이 만든 무기로 인간 적들 사이에 펼쳐졌다. 하지만 테라포밍에는 환경이 개입하고 비인간 존재가 중요한 구실을 하는 다른 전쟁이 필요했다.···

  ···이러한 전쟁은 군인만이 아니라 전체 인민, 종족, 문화, 세계관, 그리고 생태계가 맞붙었다. ‘전면전총동원은 유럽으로 들어오기 훨씬 전에 북·남미에 존재했다.

  ···환경 무기화가 분쟁 주요소인 생물정치적(biopolitical) 전쟁이었다.

  정착형 식민주의적 전쟁과 유럽이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벌인 식민지 전쟁 간 근본적 차이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정착형 식민주의 전쟁은 완전히 다른 전쟁이었다. 병원균···식물·동물들이 모두 그 전쟁에서 자기 몫을 지닌 주체였다. 토착민은 이 수많은 비인간 존재들이 관여하는 항구적 전쟁 상태로 내몰렸다.(79~83)

 

생물정치적 전쟁이라는 표현이 정확한지 의문이다. 이 말 자체가 지닌 의미를 어디서 찾아야 하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우선 문맥에서 찾아보자. 이 말을 정의하는 일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구절은 이렇다.

 

인구 전체가 대규모 생물학적 생태 파괴를 포함한 폭력 형태에 시달리는···전쟁”(80)

 

생물(bio)’이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 전체를 의미한다면, 인구 전체가 주어여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생물정치적 전쟁이 아니더라도 대규모 전쟁이 일어난 장소에서 폭력에 시달리지 않는 인구가 존재할 수는 없다. 전쟁 와중에 인간이 만든 무기가 인간 이외 생물이나 생태를 파괴하지 않을 수도 없다. 이런 일이 광범위하게 일어난다고 해서 생물정치적이라 한다면 테라포밍 전쟁을 다른 전쟁과 구별하는 일은 거의 무의미하다.

 

생물정치적이라 할 때 필수적인 사항은 기존 전쟁 개념을 벗어난 행위 주체와 방법이 직접 전쟁 당사자로 세워진다는 점이다. 기존 전쟁 목표가 절멸이 아니기 때문에 동원하지 않았던 비인간 존재들을 총체적으로 전선에 세웠으므로 전면전이며 총동원이라 했기에 말이다. 정착형 식민주의 정복전이 지닌 전방위·전천후, 그 절대적 잔혹성을 드러내기에 그리 적합해 보이지 않는 생물정치적이라는 말은 대체 어디서 왔을까?


아미타브 고시가 새로 만든 말이 아니라면, 미셸 푸코에서 조르조 아감벤, 안토니오 네그리, 미카엘 하르트를 거쳐 토마스 렘케까지 이르는 생물(보통은 생명이라 번역함-필자)정치논의를 따랐을 가능성이 크다. 이 생물정치는 19세기 이후 전개된 서구 통제 정치 국면으로 생명을 생산·보호는 물론 폐기되도록 방치 또는 환경 조건을 개입시키는 데까지 권력이 관리·규율하는 구조다.

 

폐기되도록 방치 또는 환경 조건을 개입시키는 일은 미셸 푸코 표현대로 죽게 내버려 두는일이다. 대상은 체제 외부다. 체제의 외부는 배제된 자, 추방된 자, 열외자, 생명만 유지되는 자, 곧 조르조 아감벤이 말하는 호모사케르’(Homo Sacer). 호모사케르 연장선에 제삼세계 민중, 소수자, 비인간 생명(식물·동물·미생물), 자연(·바다·)이 있다.

 

죽게 내버려 두는 일은 부작위, 그러니까 마땅히 해야 할 일을 고의로 하지 않음으로써 살해하는 행위다. 예컨대 전염병에 걸려 죽을 수밖에 없도록 영양실조, 열악한 위생, 심리적 불안들을 개선하지 않는 행위다. 적극적 살해행위와 본질에서 전혀 다르지 않다. 왜 이런 전략을 쓰는가? 손쉽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미생물·식물·동물··숲이 개입해 일어나는 일은 윤리적 문제를 일으키지도 않고, 따라서 거기에 죄책감을 가질 필요도 없기 때문이다.

 

생물정치적 전쟁···은 전혀 전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다른 어떤 독립적 자연 질서로 분류된다. 따라서 자연에 대한 기계론적 서구 관념은 생물정치적 전쟁이 지닌 진정한 특성을 폭로함과 동시에 은폐하는 중요한 요소다. 우리는 이러한 역사적 메아리를 아직도 들을 수 있다. 미국 기후 위기 부인론자들이 기후 변동은 자연 현상이며 따라서 인간 개입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주장할 때 말이다.”(84)

 

아미타브 고시는 어떻게 생물정치 개념으로 정착형 식민주의 말살 전쟁을 해석할 수 있었을까? 아니다. 이 질문은 잘못됐다. 일은 거꾸로 진행됐다. 이 책이 여러 번 이런 진실을 설파했듯 생물정치 개념도 정착형 식민주의 말살 전쟁 경험에서 나왔다. 미셸 푸코도 조르조 아감벤도 이 진실을 알아채지 못했다. 그들 관지가 유럽, 더군다나 거기 인간이라는 사실이 그 증거다. 내가 뜨르르한 제국 천재들을 근원에서 인정하지 않는 이유다.

 

미셸 푸코, 조르조 아감벤이 모르는 진실을 아미타브 고시가 안다면 아미타브 고시가 모르는 진실을 나는 알아야 한다. 나는 앵글로아메리카 제국 짝퉁이자 사실상 그 식민지인 일본 제국 후기 식민지에서 태어나 살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문부성 국비 장학생 1호 아들이 대통령 놀이하면서 공식적으로 부역하는 풍경 한가운데 서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