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두구의 저주 - 지구 위기와 서구 제국주의
아미타브 고시 지음, 김홍옥 옮김 / 에코리브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구가 1세기 반 동안 냉각을 겪어왔다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익히 알려져 있다.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중반까지 절정을 이룬 이 시기는 흔히 작은 빙하기라고 불린다. 그 시기에 대기 중 탄소 농도가 급격히 하락했다는 사실도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런 이상 현상은 일반적으로 태양 활동이나 지진 활동 변화 같은 자연적요인 탓으로 돌려졌다. 그 이상 현상은 유럽이 북·남미에 대한 통제 고삐를 단단히 죄고 있을 때 일어났는데, 이 사실은 오랫동안 우연한 결과로만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 연구는 또 다른 가능성을 시사한다. , 유럽이 살육을 자행함으로 시작된 재앙에 가까운 북·남미 인구 감소가 작은 빙하기 전 지구적 평균 기온하락에 어느 정도 작용했을 가능성 말이다. 16세기와 17세기에 너무나 많은 아메리카 인디언이 살해돼서 한때 식량 재배 용도로 쓰이던 방대한 경작지가 숲으로 되돌아갔다. ·남미 대륙에서 갑작스럽게 푸른 나무가 늘어나자 이산화탄소가 엄청나게 격리되고, 그에 따라 전 지구적 기온하락을 결과한 역 온실가스 효과가 일어났다는 가설이다.

  이 가설은 물론 입증된 적이 없다. 하지만 만약 작은 빙하기가 부분적으로나마 실제 인간 활동으로 말미암았다면, 이는 인류가 기후변화를 유발한 우리 시대와 17세기를 연관 짓는 또 다른 근거일 수도 있다.(76~77)

 

스티브 테일러는 자아 폭발-타락-에서 이런 사실을 전해주었다.

 

어떤 사람들은 유럽인 아메리카 원주민 정복을 나치 유대인 학살과 비교하지만, 여러모로 그보다 훨씬 심각했다. 1492년 콜럼버스가 도착하기 전에 남북 아메리카 인구가 얼마였는지 확실하게 아는 사람은 없다. 2천만 명에서 1억 명까지 각기 다르게 추정하는데, 실제는 그 중간 정도로 봐야 한다. 유럽인이 들어온 이후 놀라울 정도로 줄었다. 1860년경 북아메리카 인디언은 단 34만 명에 불과했다.”(138)

 

중간이면 6천 만이다. 사실상 이들을 모두 죽였다. 아니다. 그동안 새로 태어난 사람까지 헤아린다면 훨씬 더 많은 사람을 말살했다. 사람만이 아니라 기대어 살던 동물, 깃들어 살던 풍경, 더불어 살던 생태 조건 전체를 도륙했다. 오늘날 우리가 차마 예측할 수 없는 전방위·전천후 변고를 유발했음이 분명하다. 작은 빙하기가 어떻게 자연적 현상일 수만 있는가. 입증돼야만 진실로 받아들일 수 있다면 인간에게 진실이란 얼마나 알량한가.

 

신라 <헌강왕(49/875~886) 본기>에 왕이 시중에게 이런 질문을 하는 대목이 있다.

 

지금 민간에서는 짚 아닌 기와로 지붕을 덮고, 나무 아닌 숯으로 밥을 짓는다고 하는데 과연 그러한가?”

 

의견이 분분하다. 그 가운데 이런 주장이 있다: 숯을 만들기 위해 과도하게 벌목함으로써 숲은 물론 생태계 균형 전반이 무너져 신라가 멸망하는 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현재 이 문제에 관해 전문가들이 어떤 의견 일치를 보았는지 나는 모른다. 분명한 사실은 10만 명 살았던 경주에서 일어난 이 일이 이렇게 해석될 수도 있다면, 사람 6천만 명과 그들이 살아가는 주위 공간을 말살한 일이 작은 빙하기를 몰고 온 한 원인일 수 있다는 가설은 다만 가설일 수 없다.

 

우리가 그동안 교육받은 세계사는 인도유럽어족, 더 좁혀 앵글로아메리칸 제국이 저지른 해악을 은폐 넘어 왜곡 미화로 각색한 흑역사다. 고등학생 시절 세계사 공부할 때 늘 품었던 불만 가운데 하나가 세계 역사라면서 시대와 단원 구분이 왜 유럽 중심으로 돼 있는가, 하는 점이었다. 그때는 모든 교과서 원본을 미군정이 만들었고, 특권층 부역자들이 덧칠했다는 사실을 전혀 몰랐다. 특권층 부역자들은 바로 이 시각에도 제국주의 관지를 알아서 기며 수용하고 있다. 제국 두뇌와 식민지 특권층 부역자 두뇌가 이렇게 공조하는 한 세계사는 끝날까지 픽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