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두구의 저주 - 지구 위기와 서구 제국주의
아미타브 고시 지음, 김홍옥 옮김 / 에코리브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자랑은 반역자 전경을 실팍하게 그려내 준다는 데 있다. 반역자란 제국주의 또는 (특히 정착형) 식민주의 본진을 의미한다. 풍경화 들머리를 장식한 네덜란드를 비롯해 영국, 그 영국을 이은 미국, 스페인, 포르투갈을 포함한 유럽 백인 가운데 직접·능동·적극적으로 살상과 착취를 저지른 자들 말이다.

 

반역이라는 표현이 지닌 가장 넓은 의미는 지구생태계 네트워킹 파괴 행위다. 개별화하면 국가, 부족 공동체에 가하는 살상·착취 행위다. 물론 제국주의나 식민주의라는 표현과 함의가 같지만, 부역이라는 표현과 짝하여 써서 살상·착취를 당하는 존재 관지를 더 잘 드러내 준다고 할 수 있다. 더군다나 기계적 구분은 아니더라도 부역이 대개 살상·착취를 당하는 존재에게서 발생하므로 침략 중첩구조를 암시해준다.

 

프리모 레비가 증언한 대로 침략 중첩구조는 실로 중대한 문제다. 다시 인용한다.

 

현실에 맞닥뜨린 최초의 충격은 예견하지 못하고 이해도 할 수 없었던 누군가의 공격이었는데, 관리자 포로라는 새롭고 이상한 적으로부터 시작됐다.

 

관리자 포로가 바로 살상·착취를 당하는 존재에게서 발생한 특권층 부역자다. 직접·능동·적극적으로 제국주의에 동조·가담한 식민지 출신 지배집단이다. 이들 존재는 제국주의 침략을 경험한 사회를 해석하고 변혁하는 데에 결정적인 중요성을 지닌다. 육두구의 저주에는 이들 이야기가 거의 없다. 이해할 만하다. 그 이야기가 제국 침략 구조 서사를 평평하고 납작하게 만드는 구실로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우리에게는 이 문제를 반드시 넓고도 깊은 서사로 만들어야 할 의무가 있다. 내가 개인적으로 이 글을 쓰는 중요한 목적 가운데 하나다.

 

식민지 시대를 거치고 여전히 그 후기 구조 아래 놓인 이 나라에서 태어나 68년째 살아가고 있는 나로서는 부역 스펙트럼과 그 생태 서사에 깊은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없다. 고백하건대 그러나 내 공부는 옹글지 못했으며, 다른 사람 공부도 그렇다고 생각한다. 어차피 특권층 부역자들은 그렇다 치고 이른바 진보 좌파를 자처하는 자들도 부역 프레임으로 우리 사회를 해석하고 변혁하는 공부가 거의 전혀 되어 있지 않음이 분명하다. 과거 사회구성체 논쟁에서 이른바 NL: PD 뭐 이런 정도로는 어림없다. 물론 그 이후 진전된 공부도 없는 듯 보이니 나는 그냥 내 방식으로 학문적 연구 따위를 떠나 이야기해볼까 한다.

 

이 이야기를 곡진하게 하려면 무엇보다 먼저 제국 침략 구조와 역학을 알아야 한다. 서구 제국주의가 발호하기 시작한 이래 지구 전역에서 벌어진 잔혹한 살상·착취를 모두 알기는 어렵다. 중요한 여러 이야기가 빠지긴 했지만 육두구의 저주만으로도 우리는 생생하게 반역자 전경을 들여다볼 수 있다. 고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