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걷기의 세계 - 뇌과학자가 전하는 가장 단순한 운동의 경이로움
셰인 오마라 지음, 구희성 옮김 / 미래의창 / 2022년 6월
평점 :
내가 존재론적 걷기를 거듭거듭 말하는 이유는 걷기가 어떤 다른 목적에 이용되는 도구로나 여겨지는 현실이 참담해서다. 『걷기의 세계』도 이 통속한 현실에 몸을 무겁게 담그고 있다. 희망 한 가닥 품어볼 만한 부분이라면 고작 이 정도다.
“문제 해결에 대한 답을 반드시 얻어야겠다는 기대 없이 걸어라. 대신 걷기 자체 즐거움을 위해, 또 그 문제에 대해 생각하는 즐거움 자체를 위해 걸어라.”(213쪽)
걸으면 즐거워지니까 걷는다면 이 또한 다른 목적일 수밖에 없다. 걷기 본성이 즐거움이다. 이 즐거움을 엄밀하게 표현하면 경이로움이다. 경이로운 이유는 걷기가 찰나마다 창발이기 때문이다. 창발이 지닌 경이로움은 영적이다. 영적 즐거움을 일으키는 네트워킹, 바로 그 걷기가 인간 본성이다. 본성을 도구로 전락시킨 유일한 종이 인간이다. 그러니 전복은 불가결이다.
인간은 몸과 뇌를 치유하기 위해, 창의적으로 사고하기 위해 걷기를 도구 삼아 진화하지 않았다. 거꾸로다. 걷기 위해, 더 잘 걷기 위해 인간은 몸과 뇌를 네트워킹 체계로 진화시켰다. 대체 이 이치가 그토록 심오하고 복잡한가. 아님에도 똑똑하고 잘난 사람들이 한사코 걷기를 도구화하는 까닭은 걷기 자체가 아름답거나 가치 있는 무엇을 생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비록 긍정적 뉘앙스로 표현했지만, 기껏해야 걷기는 “활동적인 나태함”(196쪽)일 뿐이다. 활동적인 나태함으로 대뇌 중심주의에 봉사할 따름이다.
지금 이 시각에도 수많은 사람이 건강에 좋다니까, 두뇌활동에 좋다니까 걷는다. 그런 걷기는 트레드밀 걷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트레드밀 걷기는 형벌이다. 형벌 걷기 하는 사람을 걷는 인간homo ambultus라 하지 않는다. homo ambultus는 걷기 자체가 목적인, 천명인, 본성인 사람이다. 이 각성이 한꺼번에 일어날 때가 임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