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 쉬다가 다시 시작된 치과 치료를 마치고 안양과 과천 경계를 넘나들며 난 길을 따라 관악산으로 들어갔다. 국기봉(525m)을 넘고 국사봉을 지난 뒤 연주대 직전에서 서울 관악구로 접어들어 서울대학교 쪽으로 내려갔다. 잠시 캠퍼스를 경유하다 다시 계곡으로 들어가 관악산 공원 입구로 나왔다. 4시간 30분에 걸쳐 산을 넘었더니 건강 앱에 17km가 떴다.

 

사실 몸 상태가 좋지 않았다. 한의대 후배들한테 강의한 뒤 함께 식사했는데 그다음 날부터 컨디션이 급작스레 나빠졌다. 그래서 더욱 산을 향했다. 게다가 몸 탓으로 위축되는 마음 상태라면 지난번 문수봉-비봉 경험 결과를 확인할 절호 기회라 여겼다. 거의 매일 사고가 나는 이른바 악산이라는데 출퇴근 복장으로 들어가 어찌 적응하는지 두고 볼 일이었다.

 

조망 관점이 이뤄지는 곳까지 올라가서 봐도 관악 정상 기후관측소와 송신탑 무리는 아스라할 따름이다. 다행히도 나는 등산하지 않고 숲 요정을 찾아다니므로 매 순간 집중과 확산이 뒤섞이면서 빚어내는 압축 시간 덕분에 본디 짐작보다 이르게 연주대(629m) 가까이 이르른다. 눈앞에 나무나 바위 아닌 물체들이 수직으로 들이닥치고야 황급히 정복길을 거둔다.

 

북한산 못지않게 바윗길이 많고 위험하지만, 문수봉-비봉을 떠올리면 단박에 표정이 풀린다. 정색하고 낭떠러지 끝에 서본다. 고요하다. “됐다.”가 확실하게 됐다고 한다. 치료하는 일에 그다지 문제 삼을 일이 아니어서 그동안 놔두었던 내 마지막 공포가 마침내 뒷모습을 보이기 시작한다. 이로써 또 한 걸음 온전함에 다가선다. 물론 누구도 온전할 수는 없지만.

 

인간에 비하면 관악산은 온전히 아름답다. 경기 오악에 속하며 금강산과 견주어 西금강이라 했다니 과연 그럴 만하다. 빼어난 바위 자태가 분명 북한산을 압도한다. 더구나 내가 ’ ‘애정하는 함박꽃나무를 산에서 보기는 여기가 처음이다. 숲을 나서는 마지막 순간, 목이 잔치까지 벌여준다. 우리 집 거실 정남향에 바로 이 관악이 장엄히 앉아 계시니 복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