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시성, 양자역학, 불교 영혼 만들기
빅터 맨스필드 지음, 이세형 옮김 / 달을긷는우물 / 2021년 12월
평점 :
중도불교에서 공은 결코 존재할 수 없는 특정한 존재인 실체에 대한 부정이다.......너무 광범위하게 실체를 정의하면 허무주의가 따라오게 되고, 다음에는 무가 존재하게 된다. 반면에, 너무 좁게 정의하면 엘리트주의가 따라오게 되고, 그러면 무상 종지가 강하게 부정하는바 사람과 대상이 영원한 본성을 지니게 된다. 그러므로 이 두 극단을 조심스럽게 피해야 한다. 중도는 양극단 혼합이 아니라 철저한 반박이다.(234쪽)
저자는 귀류 논증 전통에 따르는 티베트 불교를 중도불교라 일컫는다. ‘중도’라는 번역이 정확한지 의문이 든다. 중도는 불교 최상 범주 언어로서 곧 정도를 말한다. 정도는 삼법인 또는 삼특상으로 집약되는 불교 보편 종지이므로 특정 전통에 국한할 수 없다. 공을 일관되게 말하는 사실로 보아 이른바 북방 대승 가운데 한 흐름을 따르는 듯하다.
그가 어디에 서 있는가, 자체는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가 내리는 최종 결론은 그 전승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 그 진경을 보기 전, 일단 여기 이 진술은 정확하다. 붓다는 인식론적 절대주의와 회의주의, 존재론적 영원론과 허무론 양극단을 반박한다. 이 반박이 중도다. 중도는 중간이 아니다. 패권을 쥔 정통사상과 맞서는 힘에 따라 요동하기 마련이다. 붓다는 아리안-힌두 전통이 지닌 유有적 제압을 거부하는 무無적 기조에 극진히 서 있다. 이 기조를 유지하는 일이야말로 중도, 곧 정도를 지키는 일이다.
중도가 지니는 역동적 실상을 모른 채 도식적 논리만 좇으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한쪽 극단에 치우치고 만다. 현실에서는 패권 정통사상에 휩쓸릴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는 마치 결곡한 양비론이 권력 편을 들게 되는 이치와 같다. 자연과학, 심지어 물리학에서도 형편은 마찬가지다. 해석 아닌 학문, 선택 아닌 진리는 없다. 내남없이 허물어질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 자기 자신을 철저하게 반박하기란 얼마나 어려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