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성, 양자역학, 불교 영혼 만들기
빅터 맨스필드 지음, 이세형 옮김 / 달을긷는우물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공간에 대한 탄력적 개념을 가진 특수상대성이론이 동시성을 지지하는가? 직접은 아니다. 그럼에도 상대성이론에서 나타나는 시공간 개념은 확실히 더 탄력적이고 관계적이며 덜 고정돼 있고 따라서 동시성에서 흔히 보이는 면들을 초월하는 시공간에 더 적합하다.


이 점을 심리학으로 설명하기 위해 우리는 실제 존재하지도 않는 시공간에 고정성과 절대성을 투사한다. 여기에 투사를 걸만한 고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사실 속도가 광속보다 훨씬 낮은 대부분 비상대적 조건에서 이 실수는 문제 되지 않지만, 원칙적으로 시공간은 특정 관찰자에게 특정한 기준 틀에 상대적이다. 그런 점에서 시공간은 본질상 정신적이다.(165~166)

 

나도 마지못해 쓰기는 하지만 본질이라는 말을 들으면 저 깊은 곳에서 거부 웅얼거림이 일어나 올라온다. 본질이 있기는 한가? 본질이라는 말 자체가 실체주의 프레임을 반영하지 않는가? 이런 질문이 불가피하다. 우선 비본질을 톺아본다.

 

시공간에 고정성 절대성을 투사하는 행위는 실수. 이 실수는 광속보다 낮은 거의 모든 속도 조건에서 문제 되지 않는다. 문제 되지 않는 실수 차원에서 시공간은 정신적이지 않다. 이는 비본질이다. 비본질이 아날로그적으로 펼쳐지는 세계에서 우리 일상은 영위된다. 본질은 디지털적으로 일상 경계를 부수고 메워서전체성을 향해 간다. 여기에 동시성이 개입한다.

 

크로노스 수평은 비본질이고 카이로스 수직이 본질이라면 대체 인간은 왜 이런 비효율적인 삶을 사는가? 말하자면 주야장천 실수로 일관하다가 예측 불허 어떤 순간에 본질과 맞닥뜨림으로써 화들짝 보정되는 삶이 과연 목적 지닌 삶이라 할 수 있는가? 무엇이 본질인지 묻기 전에 본질이 무엇인지 물으면 본질:비본질 구도 자체에 의문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

 

시간 본질을 묻고 그 본질을 정신적이라고 규정하는 일은 저자가 의지하는 중도불교 사상과 일치하는가? 이 실체 아닌 실재 사이 상호의존을 뜻한다면 본질도 실체가 아니다. 실체가 아니면 끊임없이 변할 테고 끊임없이 변하는 무엇에게 본질이 있을 리 없다.

 

정신과 물질 사이 상호의존으로 논점을 한정한다. 정신과 물질은 마치 빛에서 파동과 입자처럼 상태함수 차이로 드러나는 차이일 뿐 본질적 경계를 지니지 않는다. 본질적 경계가 아닌 경계를 절대화한 터 위에 상대성을 근거로 시간 본질을 정신적이라 규정한다면 이는 궁극에서 대극 합일로 향하는 저자 취지와 어긋난다. 대극 합일과 일극 집중이 동의어가 돼버린다.

 

저자는 아리안-힌두 전통과 붓다 원음이 다르다는 엄밀 진실을 모르기 때문에, 잘못된 대극 합일에 터 하고 있다. 마지막 다다를 지점은 서로 다르지만 융도 맨스필드도 유구한 사하라시아(스티브 테일러) 전통에서 벗어나지 않음으로써 거인이 되었다. 본질적 실수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05-11 13: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5-12 09: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5-12 10: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5-12 17: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5-18 21: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5-19 08:4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