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때 배웠을까, <4월의 노래>, 제법 자주 흥얼거렸던 기억이 새롭다. 그 노래에 나오는 목련은 우리가 서울 거리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하얀 목련이고, 그 하얀 목련은 양희은의 <하연 목련> 그 꽃이기도 하다. 목련을 싫어하는 사람은 없으리라. 나 또한 몹시 좋아해서 해마다 4월이면 스마트폰은 목련 사진으로 그득 차곤 했다.
최근 낭·풀 공부를 하면서 목련에 대해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었다. 우리가 흔히 보는 하얀 목련, 그러니까 백목련은 중국산 개량종이라고 한다. 같은 모양이면서 꽃잎 안쪽은 희고 바깥쪽은 자주색인 자주목련, 꽃잎 안쪽은 연한 자주색이고 바깥쪽은 자주색인 자목련도 마찬가지로 중국산 개량종이라고 한다. 우리가 자주 보지는 못하지만 꽃잎이10~30개가량 달리며 한껏 벌어져 피는 별목련도 중국에서 건너왔다.
한라산이 고향인 본디 목련, 그러니까 어떤 수식어도 붙지 않은 “목련”은 오히려 흔히 볼 수 없다. 별목련과 전체 모양이 비슷한데 꽃잎 수가 많지 않다. 6개인 경우가 보통이다. 백목련을 보다가 이 목련을 보면, 어딘가 허전하고 심지어 촌스럽다. 꽃잎을 한껏 벌린 형태는 끝까지 오므린 형태를 벗어나지 않는 백목련에 비해 덜 ‘섹시’하다. 모르는 상태에서 처음 보았을 때, 그러나, 나는 이 꽃이 장미에게 찔레꽃 같은 존재임을 직감했다. 질박고졸. 내 느낌이 그랬다.
느낌 따라 이름이 ‘산山목련’이지 싶다 했는데, 그 이름 지닌 꽃이 이미 있었다. 함박꽃나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화다. 이름을 목란木蘭으로 바꾸었다. 자태가 곱고 단아하며 기품이 있다. 물론 이 꽃도 목련과/목련속이다.
이제 나는 ‘목련’ 하면 백목련 아닌 “목련”을 떠올린다. 오늘 아침 살피재 넘어오는 길에 숲속 “목련” 꽃잎을 직박구리가 먹는 모습을 보았다. 함부로 크게 지저귀어 직박구리라 이름 붙였다는데, 식사는 품위 있게 하는구나, 생각하며 웃었다.

"목련"

별목련

백목련

자주목련

자목련
꽃 사진/ 꽃지기의 꽃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