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하는 신체 - 다른 사람의 입장에 선다는 그 위태로움에 대하여
우치다 타츠루 지음, 오오쿠사 미노루.현병호 옮김 / 민들레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읽을 때는 너무 난해해서 무슨 말을 하는지 전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거기 대단히 중요한 무엇이 써 있다는 사실만큼은 알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날마다 몇 쪽씩 읽었습니다. 전혀 이해하지 못한 채로 2주 정도 읽으니까 이상하게도 다음에 어떤 문장이 이어질지 알 수 있었습니다.......

  글을 읽으면서 다음에는 이런 말이 나오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을 때, 그 예상이 딱 맞아떨어지면, “, 역시 그렇군!” 하며 감동하게 됩니다.......저자 사고회로에 순간적으로 동조되는 일이 일어납니다.......

  다음에 무슨 말이 이어질지 감이 잡힌다는 이야기는 놀랍습니다. 경험한 사람이 아니고는 결코 할 수 없는 말입니다.......글쓴이와 호흡이 일치하고 심장 고동이 같이 울리며 다음 말이 자기 입에서 튀어나오는 일입니다. 여기서 이해 실마리가 풀리기 시작합니다.(91~92)

 

훌륭한 문장은 그 속에 신체를 담그고 있으면 속으로 파고들어옵니다.

  그렇게 파고들어오는 실재는 의미가 아닙니다.......‘텍스트 신체입니다. 텍스트 신체에 내 신체가 반응해 일어나는 일입니다. 읽는 행위는 진실로 거기에서 시작합니다. 호흡, 리듬, 촉감 같은 텍스트 신체를 경유해 이윽고 의미에 다다릅니다.(94)


 

20대 후반 나는 처음으로 어떤 책을 읽다가 다음 내용을 예측해냈다.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하는데 유난히 그 글은 처음부터 문맥이탈digression이 심했다; 끝까지 그랬다. 그럼에도 모름지기 존재하는 어떤 파동이 감지되었다. 어딘가 길목을 돌다가, 다음에 이런 이야기가 나오지 않으면 이 책을 던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순간, 그 내용이 우당탕 들이닥쳐서 감동했었다.

 

거의 40년이 지난 어느 날 이번에는 노래를 들으며 그런 일이 일어났다. 물론 그 노래를 그때 처음 들었다. 그런데 노래가 끝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다음 멜로디가 마치 이른바 ‘18처럼 친근하게 떠올랐다. 기억이 되살아난 것이 결코 아니다. ABBA가 부른 <The Way Old Friends Do>라는 노래다. ABBA가 지구촌을 들었다 놨다 할 때도 나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하도 유명해서 오며가며 귀에 들어와 있는 몇 곡 일부 멜로디를 기억할 뿐, 전곡을 다 부를 수 있는 노래는 단 한 곡도 없다. 그 중에서도 <The Way.......>는 아예 제목조차도 들어본 적이 없다. 멜로디가 너무도 착착 감겨와 그 노래를 찾아보지 않을 수 없었다. 검색을 통해 가사를 알게 되었고, 서너 번 되풀이해서 부르자 그대로 기억 속으로 들어와 앉았다. 커닝하지 않고 온전히 부를 줄 아는 유일한 팝송이다.

 

더 감동적인 경험은 조금 다른 방식으로 찾아왔다. 원효에 심취해 그와 관련된 허다한 글들을 읽으며 몇 년을 지냈다. 도무지 성에 차지 않았다. 그도 그럴 것이 원효 연구 수준이 형편없이 낮아서였다. 마침내 작심하고 그 어렵다는 금강삼매경본문을 백문으로 마주했다. 무엇보다 먼저 도무지 알 수 없는 한자가 무차별로 쏟아져 나오는 데 앞이 캄캄했다. 그 다음은 글자 하나하나 찾아도 단어, 숙어, 문장, 나아가 문맥 전반을 도통 알아먹을 수가 없었다. 불가피하게 그런 뇌 작업을 포기했다. 다시 정좌하고, 모른 채 그림(!)에 낱낱이 눈 도끼를 찍으며 막무가내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절망이다 싶은 어느 순간, 갑자기 문단 전체를 한 눈으로 찍는 일이 일어났다. 정작 온몸에 소름 돋는 일은 바로 그 다음 순간 일어났다. 그 뜻이 몸속으로 술술 흘러들어온다!

 

지금 다시 금강삼매경본문을 백문으로 마주하면 처음 상황과 비슷할 터. 그러나 그때 내 속을 파고 들어온 텍스트 신체는 향후 내 인생 전체를 밝히고 지탱하고 성장하게 했다. 내게 새겨진 의미가 다른 해석·실천과 대비해 수준이 낮다거나 심지어 오류라는 근거는 아직 어디서도 찾지 못했으니 이만하면 내 독서는 뇌 독서가 아니고 신체 독서라 신뢰해도 되지 않을까. 자랑이 자만 턱밑까지 왔다 싶은 바로 이때 내 안와전두엽을 두드린다.

 

뇌로 읽으면 독서가 아니다.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뇌 독서로도 새로운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뇌 독서는 자기가 이미 알고 있는 바를 재확인할 따름이라는 사실을 모른다. 재확인일 수밖에 없는 이유는 뇌가 소화하는 진리는 형식논리고 형식논리는 동어반복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 동어반복도 즐거움을 준다. 그 즐거움에 빠진 상태가 바로 중독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