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하는 신체 - 다른 사람의 입장에 선다는 그 위태로움에 대하여
우치다 타츠루 지음, 오오쿠사 미노루.현병호 옮김 / 민들레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치다 타츠루는 한자로 內田 樹. 이름이 나무다. 나무 공부를 할 때, 의도와는 아무런 상관없이 나는 타츠루가 지닌 통찰의 도움을 받았다. 나온 직후인 20195월에 만나서 나무, , 돌꽃(지의류), 곰팡이(균류), (조류), 버금바리(박테리아), 으뜸바리(바이러스)를 공부하는 내내 무엇에 끌린 듯 이 책을 거듭거듭 뒤적거렸다. 몸 감각에 귀의하기, 인간 언어로는 불가능한 존재들과 소통하기 같은 관건적 주제가 이 책과 내 공부를 관통하고 있었기 때문이리라.

 

이런 까닭을 넘어서 저자가 빚은 여러 통찰을 하나로 묶는 사유 기축이 내 주의를 끈다. 그 기축을 표현하는 데 명확한 범주적 용어를 쓰지 않고 그때그때 변주를 하기 때문에 그의 강의 스타일처럼 분방하지만, 어떤 큰 표지나 이미지가 존재한다. 고수에 해당하는 합기도 무예인이자 프랑스철학 전문 연구자로서 특질이 저자 사상에 삼투해 있음을 생각하면 자못 흥미진진해진다. 내 생각과 사뭇 다르기도 한 점 또한 매혹이다. 그 이야기를 해보고 싶어 근질거린다.

 

저자가 일본인이라는 사실과 프랑스철학을 공부한다는 사실 사이에서 합기도는 필연으로, 은총으로 매개자 구실을 한다. 잘 모르지만 일본어는 그리 명석한 언어가 아니다. 반대로 명석하지 않으면 프랑스어가 아니다.” 그 간극을 무예인 몸 감각으로 채우는 데서 저자만 지닌 탁월함이 배어나온다고 나는 생각한다. 나는 무예 아닌 침과 수기로 타자 몸에 가닿는다. 행위 본성을 따지면 둘은 같다. 행위 의념을 따지면 둘은 다르다. 이 일치와 차이를 살펴봐야 한다.

 

과문 탓에 내가 느지막이 발견하기 오래 전부터 이미 저자는 관심 있는 한국 독자들에게 매우 익숙한 인물이었던 듯하다. 100권이 넘는 저서 가운데 거의 30권에 달하는 책이 번역되어 있을 정도다. 정치적인 면으로 보면 그는 스스로는 리버럴이라 칭하지만 일본 안에서 극우한테 끊임없이 살해 협박을 받는다고 한다. 그가 지닌 사회적 아우라가 만만치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소통하는 신체읽기를 통해 그런 그 면면 일부가 어찌 드러날지 궁금하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