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 - 집회의 수행성 이론을 위한 노트
주디스 버틀러 지음, 김응산 외 옮김 / 창비 / 2020년 7월
평점 :
자유란 내게서, 또는 네게서 나오지 않는다. 자유는 우리 사이 관계로써, 또는 우리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고 또 발생한다. 따라서 중요한 문제는 각 개인 안에 있는 존엄성을 찾는 일이 아니라 오히려 인간을 관계적이자 사회적인 존재로 이해하는 일이다. 자기 행동이 평등에 의존하고, 아울러 평등원칙을 분명히 하는 그런 관계적 존재 말이다.......그 어떤 인간도 홀로 인간이 될 수는 없다. 따라서 타자와 함께 행동하고 평등 조건에서 행동하지 않는 한, 그 어떤 인간도 인간일 수 없다.(130쪽)
음 하나는 음악이 아니다. 음이 적어도 하나는 더 있어야 음악이다. 그 더해진 음높이와 음색이 본디 음과 같다면 역시 음악이 아니다. 음높이, 음색 중 적어도 하나는 달라야 음악이다. 그 다름이 이를테면 허공이다. 그 허공이 이를테면 사이다. 음악은 한 음에서, 다른 한 음에서 나오지 않는다. 음악은 다른 음 “사이 관계로써, 또는”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고 또 발생한다.” 음악과 자유는 같은 본성을 지닌다. 이 본성 이야기로 한 걸음 더 전진해보자.
‘나’는 본성상 무엇인가? ‘나’ 하나는 인간이 아니다. ‘나’가 적어도 하나는 더 있어야 인간이다. 그 더해진 ‘나’의 위상과 특성이 같다면 역시 인간이 아니다. ‘나’의 위상과 특성 중 적어도 하나는 달라야 인간이다. 그 다름이 이를테면 허공이다. 그 허공이 이를테면 사이다. 인간은 ‘나’에서, 다른 ‘나’-그러니까 ‘너’-에서 나오지 않는다. 인간은 다른 ‘나’ “사이 관계로써, 또는”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고 또 발생한다.” 인간과 자유는 같은 본성을 지닌다.
인간은 자유다. 자유가 아니면 인간이 아니다. 양상은 다르고 본성이 같은 “사이 사건”이다. 사이 사건은 온 존재가 지닌 본성이다. 그 본성은 “평등 조건”에 “의존”한다. 평등 조건에 의존한 자유가 인간이다. 인간은 낭·풀에서, 낭·풀은 돌꽃에서, 돌꽃은 팡이에서, 팡이는 박테리아에서, 박테리아는 바이러스에서, 바이러스는 DNA리플리콘에서, DNA리플리콘은 물리학 너머 생명 창발에서 발원했다. 창발은 동사로 표현한 사이다. 사이가 우주 자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