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 - 균이 만드는 지구 생태계의 경이로움
멀린 셸드레이크 지음, 김은영 옮김, 홍승범 감수 / 아날로그(글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곰팡이는 둘 사이 틈새를 지배한다. 곰팡이 한 살이 일부는 식물 내부에서 일어나고, 나머지는 흙속에서 진행된다. 곰팡이는 탄소가 식물 생애주기로 진입하는 지점에 자리 잡고서 대기와 대지 관계를 공고히 한다.(222)

 

인류 건강과 안녕은 균근연합 효율성에 달려 있다.” 현대 유기농운동 창시자이자 균근 곰팡이를 열정적으로 대변하는 앨버트 하워드는 말한다.......“인류가 가진 가장 소중한 자산, 비옥한 토양을 보존할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이 문명 미래를 결정한다.”(245)

 

식물이 먼저 곰팡이 기르는 법을 배웠는지, 반대인지 알 수 없지만, 식물과 곰팡이가 함께 함으로써 농업은 시작되었다. 어느 쪽이 먼저였든, 식물과 곰팡이가 서로를 더 잘 길러낼 수 있도록 우리는 행동을 바꾸어야 한다.(251).

 

식물만 눈에 넣고 곰팡이 눈 밖에 두기는 농업인도 한의사 못지않다. 자기가 거둬들이는 작물만큼이나 비옥한 토양도 소중한 자산인 줄 알지만 함부로 화학비료, 농약 뿌려 땅을 죽인다. 땅 죽이면 곰팡이도 죽는다는 사실 또한 여전히 눈 밖에 있다.

 

대부분 농업인이 가담한 관행농, 산업농은 당장 소출 이외에 다른 관심 있을 리 없다. 하기는 화학비료, 농약을 기적으로 경험한 세대가 아직도 살아 있으니, 모순이 엄습한 속도가 너무 빠른 셈이다. 그만큼 현대, 엄밀히는 서구 농업혁명파괴력이 가공할 수준이라는 말이다.

 

어떤 보존미래를 결정한다.는 말은 이미 종말론적 상황이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췌론 여지없이 농업인, 나아가 인류는 긴급히 행동을 바꾸어야 한다.기축은 곰팡이다. 곰팡이가 대기와 대지 관계를 공고히함으로써 둘 사이 틈새를 지배하는 관건존재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