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과 공존하는 나는 통생명체다 - 내 안의 우주
김혜성 지음 / 파라사이언스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통생명체란 holobiont란 영어 단어를 번역한 말이다. 전체를 의미하는 holo(whole)와 생명 혹은 생물을 의미하는 bio를 합성한 말인데.......‘에는 세 가지 의미가 중첩되어 있다. 하나는 나와 내 몸 미생물 전체를 으로 보자는 의미이고, 또 하나는 통생명체 안에서 나와 내 몸 미생물이 서로 소통(疏通interaction)한다는 의미이고, 나머지 하나는 통생명체 전체가 외부 환경과 늘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36)

 

홀로바이온트는 특정 목적으로 통일되는 유기체 개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 유기체 개념에 갇히면 특정 목적 너머로 창발emergence을 일으킬 수 없다. 창발은 네트워킹에서 일어난다. 이런 의미에서 나는 네트워킹바이온트networkingbiont라는 용어가 꼭 똑 알맞다고 생각한다.

 

네트워킹바이온트는 본성상 분산 모듈 네트워킹이다. 휴먼바이온트가 장기 집중 구조로 진화할 수 있었던 바탕에는 미소생명과 이룬 네트워킹바이온트에 있다. 거꾸로 말하면 장기 집중 구조인 휴먼바이온트는 미소생명과 만남으로써 더 큰 네트워킹바이온트 장에 참여할 수 있었다. 물론 실제 진화사에서 두 이야기는 하나다. 한 이야기로 수렴되는 누리가 다름 아닌 낭/풀 생명이다.

 

나로 하여금 미소생명 공부를 해야 낭/풀 공부가 끝난다고 직관하도록 이끈 지식-지혜 네트워킹이 열어주려 한 고갱이 진실이다. 비단 원리뿐만 아니고 실제로 인간이 미소생명에게 다가갈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길이 낭/풀이기도 하다. 예컨대 에 깃들어 있는 바이러스 80% 이상이 식물바이러스다. 식물바이러스가 어디서 왔겠는가. 이 식물바이러스가 인간 선천면역을 활성화한다. 인간 종적 보전이 누구에게서 비롯했겠는가.

 

결국 다시 낭/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