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가 자라는 모습을 보았다 - 목수 할아버지가 전하는 나무의 매력, 인생의 지혜
에르빈 토마 지음, 김해생 옮김 / 살림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으로 내용을 짐작하기는 어려운 책이다. 저자는 산림관리사 출신으로 100% 목조주택 국제면허를 지닌 목조건축회사 경영자다. 그는 목수였던 처조부 영향 아래 목재를 따라 신비한 나무 세계로 들어간 특별한 이력자다. 내가 이 책을 집어든 이유는 나무 공부가 어떤 의미로 변곡점에 육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숲 아닌 목재라는 조건에서 만나는 나무는 내게 무슨 말을 건넬까 버썩 궁금해진다.

 

책을 열면 파블로 네루다가 쓴 <목재에 바치는 송가>가 무려 여덟 쪽에 걸쳐 펼쳐진다. 처음엔 왜 나무가 아니고 목재일까, 의아했는데 이 시가 일상의 것들에 바치는 송가일부임을 알자 아연 감성 문이 열린다. 시 첫 부분이 그 뒤 모든 내용을 주석으로 거느린다.

 

! 내가 아는 한

그리고 다시 알아도

모든 사물 중에

가장 좋은 친구는

목재다

 

사물이라는 표현이 네루다 기원인지 번역 기원인지 알지 못한다. (대부분 사람에게는 차이가 없겠지만) 나무는 사물이 아니고 목재는 사물이라 하면, ‘친구란 표현은 은유일 따름인가?

 

나무는 영원한 순환의 구성원이다. 따라서 나무의 삶과 죽음을 결정하는 요소는 나무 하나하나의 성장 상태가 아니다. 결정적 요소는 나무가 품고 있는 불가사의한 신비다.

  나무를 베는 일은 나무를 파괴하는 행위가 아니다. 나무를 파괴하는 행위는 영원한 순환을 무시한 채, 나무라는 존재를 통해 하늘과 땅이 연결된다는 생각을 말살한 채, 나무의 신비를 파괴할 때 시작된다.”(206)

 

생명의 상징인 나무는 벌채로 말미암아 죽지 않는다. 나무는 인간이 나무와 세계의 연결을 끊을 때, 나무 리듬과 나무가 이 세계에서 할 일을 빼앗을 때, 그리고 인간의 삶에서 나무를 배제할 때 죽음을 맞이한다.

  인간은 나무를 즐기고, 나무가 성숙하면 그 목재를 이용해야 한다. 나무가 주는 목재를 받아들여, 나무의 신비를 인간 삶에 포함시켜야 한다. 목재를 다 사용한 다음에는 예정된 순환의 길로 보내, 다시 부식토가 되도록 배려해야 한다. 이런 신비를 보존하는 사람은 자신의 삶에서도 나무의 기적을 경험할 수 있다.

  .......목재는 나무의 신비를 간직한 존재라는 의미에서 살아 있는 존재다.......목재는 색체와 형태를 통해, 그리고 가공하는 사람의 정신을 통해 인간과 교감한다.”(207)

 

나무를 베는 일은 나무를 죽이는 일이 아니다. 늙은 나무를 베는 일은 자연이 미리 정해놓은 삶의 여정이다.......

  자연에 경외심을 품고 목재를 가공하는 사람, 목재와 더불어 살며 목재를 다시 순환 궤도에 올려놓은 사람이 나무와 숲을 얻는다.”(208)

 

목재로 집을 짓는 사람 관지에서 살아 있는 나무 개념을 지나치게 확장했다고 비판할 만하다. 그 비판은 동물계 관지를 반영한다는 반박을 부른다. 나무에서 나온 목재와 동물에서 나온 뼈와 살은 생명 작용과 유지 기전을 전혀 달리 한다. 저자가 거듭 강조하는 나무의 신비또는 나무의 기적이란 말이 그 다름을 극진히 표현해준다. 그 다름이 동물 뼈와 살로는 불가능한 봉정사 극락전과 부석사 무량수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 둘은 800년 넘게 인간과 교감하는 목재로 지은 건물이다. 인간과 교감하는 목재는 나무의 신비를 간직한 존재. 나무의 신비를 간직하는 한, 목재는 살아 있는 존재다.

 

살아 있는 존재로서 목재를 대면하면 대뜸 떠오를 수밖에 없는 질문 하나.

 

나무의 신비를 간직한 목재가 살아 있는 존재라면 풀의 신비를 간직한 초재草材도 살아 있는 존재가 아닌가?”

 

초재 가운데 익숙하기로는 식재가 으뜸이다. 나는 오늘 점심식사 때 두릅을 먹으며 그 한 송이를 통해 하늘과 땅이 연결된다는 생각에 깊이 유념한다. 나는 두릅의 신비를 인간 삶에 포함시켜야한다는 원리에 순복한다. 나는 두릅에 경외심을 품고두릅과 더불어 살며두릅을 순환 궤도에 올려놓은 사람이되어 나무와 숲을 얻는다.죽은 두릅으로는 그럴 수 없다.

 

먹기는 물론이고 입거나 붙이거나 바르거나 씻거나 지니거나 간에 풀은 뽑히고 베이고 썰리고 이겨지고 끓여져 초재로 인간에게 온다. 뽑히고 베이고 썰리고 이겨지고 끓여질 때 풀이 죽는다고 우리는 간단히 생각한다. 나 또한 얼마 전까지 먹는 행위는 다른 생명을 죽여 내 생명의 일부로 다시 살려내는 역설 사건이다. 살육도 필연이고 생육도 필연이다.’라고 말했었다.(루스 이리가레·마이클 마더 식물의 사유주해리뷰5. <생명을 망각한 문화()식물성 의식을 요청함>) 이 말은 생사를 동물 기준으로 규정한 데서 나왔다.

 

생사의 갈림은 입자와 파동의 갈림과 같다. 실재 세계에서 100% 입자와 100% 파동은 존재하지 않고 상태함수를 따라 중간영역에서 요동할 뿐이듯 삶과 죽음은 칼 같은 이분법 안에 갇히지 않는다. 특히 낭/풀은 생명 스펙트럼을 넓게 확보한 상태함수를 따르므로 인간 눈으로 보기에 죽은 모습이 산 모습일 경우는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이는 정도 차이를 넘어 본성 차이다: /풀 생명은 모듈 분산 운동, 인간 생명은 장기 집중 운동.

 

이 책 덕분에 낭/풀로 빚어진 음식과 한약을 대하는 내 태도가 달라졌다. 이 책 덕분에 낭/풀로 빚어진 집, 가구, , 필기도구, 장신구.......를 대하는 내 태도가 달라졌다. 인생도처유상수人生到處有上手란 말을 새삼 실감하니 공부 길은 멀고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