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모를 땋으며 - 토박이 지혜와 과학 그리고 식물이 가르쳐준 것들
로빈 월 키머러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식물은 최초의 생태복원학자다. 그들은 자신의 선물을 이용해 땅을 치유하고 우리에게 길을 보여준다.(485)

 

인간이 생태계를 훼손하자 새로운 생태계가 생겨났으며 식물은 천천히 적응하면서 우리에게 상처 치유하는 길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식물이 지닌 솜씨와 슬기를 보여주는 증거다. 인간의 어떤 행위도 미치지 못할 만큼. 식물이 자기 일을 계속하도록 내버려두는 지혜가 우리에게 있으면 좋겠다. 복원은 우리가 협력할, 그러니까 도울 기회다. 우리가 맡은 부분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487)


 

여행감독 고재열은 <꼰대 감별법>이란 글에서 이렇게 말했다.

 

그 판에서 누가 주연인지 모르겠으면 당신이 바로 꼰대다. 주연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당신이 주연 자리를 빼앗고 있다는 것이다.”

 

린 마굴리스는 인간이 스스로 내린 주제넘은 도덕적 명령, ‘병든 지구를 치유하라는 자기기만일 뿐이라고 일갈했다. 복원 또는 치유 주연은 식물이다. 인간은 식물이 자기 일을 계속하도록 내버려두는 지혜를 냄으로써 도울뿐이다. 식물이 자기 일을 계속하도록 하려면 인간이 저지르고 있는 범죄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설거지를 시작”(480)해야 한다. 4대강 보를 치우는 일이 대표적인 예다. 딱 그 정도다. 그 이상으로 설쳐대면 꼰대 짓이다.

 

꼰대 짓할 때는 자기 성찰 관장하는 안와전두엽이 이미 고장 난 상태다. 안와전두엽은 자신이 위너가 되었다고 느끼는 순간부터 망가지기 시작한다. 돈이든 권력이든 인기든 명망이든 성취감 또는 자부심으로 가득 차면 귀신들림demon possession과 다름없는 상태가 된다. 귀신은 전지전능하다고 느끼므로 제 영역 너머에 손을 댄다. 기생충 학자가 정치적 선동을 하는 일이 대표적인 예다. 분수를 알고 제 자리에 머무를 줄 안다면 꼰대가 될 수 없다. 생태계를 훼손한 장본인인 인간이 분수를 아는 한, 함부로 복원 또는 치유 주연으로 자처하지 못한다. “인간의 어떤 행위도 미치지 못할 만큼식물이 보여주는 솜씨와 슬기를 따라 인간은 자연의 제자”(487)라는 진리 앞에 겸허히 엎드려야 한다.

 

겸허는 종속영양생물인 인간에게 자연Sein 본성임이 틀림없다. 당위Sollen로 넘어간 역사적 계기를 문명이라 한다. 문명의 이름으로 인류는 본성 축을 전복했다. 전복된 축에 터해 인간은 식물과 자신을 모두 소외시켰다. 인식체계에서 식물 정신성, 인간 육체성을 각각 봉인했다. 식물 정신성 복원이 문제의 근원이지만 이는 인간이 현재 지니는 인식능력으로는 불가능하다. 인간 육체성 복원은 이미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감정 또는 정서를 복권하는 일에서부터 최근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내수용감각interoception 깨우는 일이 대표적인 예다. 한껏 몸 사람이 됨으로써 식물 본성에 핍진히 다가갈 수 있다. 겸허 가는 숲길이다.

 

내가 생애 마지막 공부라 여기며 식물로 향하는 이 여정은 내가 기획한 인생 프로젝트가 아니다. 일이 흘러가는 모습과 일에 담긴 알맹이가 제의 본질을 지니고 있으니 깨달음은 한 박자씩 더디 오고 상상은 한 발짝씩 멀리 번진다. 묵은 아이를 되찾는 대칭성이 그려지기도 하고 몸 사람과 마음 사람 사이 균형을 잡는 비대칭성이 잡히기도 한다. 내 생명과 생애, 그리고 공동체가 지닌 식물본성을 복원해가는 풍경이 중첩되어 펼쳐지고 있다. 모든 장면에서 인간으로서 단일 의식을 가진 나는 겸허하게 돕는 존재일 뿐이다.

 

인간은 다만 지구생태계 복원에서뿐 아니라 본디 발생 그 자체에서 돕는 존재가 아닐까. “우리가 맡은 부분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말에 담긴 깊은 뜻이 거기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