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모를 땋으며 - 토박이 지혜와 과학 그리고 식물이 가르쳐준 것들
로빈 월 키머러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달랑거리는 물방울에 내 얼굴이 비친다. 어안렌즈여서 이마가 커다랗고 귀가 조그맣다. 너무 많이 생각하고 너무 적게 듣는 우리 인간 모습이 꼭 똑 저렇다. 주의를 기울이는 일은 우리 아닌 지적 존재에게서 배울 바 있음을 인정하는 일이다. 귀를 기울이고 목격자가 되면 세계를 향한 문이 열리고 우리를 가르는 벽이 빗방울처럼 녹아내릴 수 있다. 물방울이 개잎갈나무 끄트머리에서 부푼다. 축복을 받듯 혀로 물방울을 받는다.(439)


 

아주 오랫동안 상담을 한 청년이 있다. 그는 이마가 커다랗고 귀가 조그맣다. 너무 많이 생각하고 너무 적게 듣는 우리 인간 모습전형이다. 너무 많은 자기 생각으로 번역하는 방식을 통해 그는 내 언어처방에 귀를 닫았다. 치밀한 영악함으로 나를 속이면서도 그는 전혀 의식하지 못했다. 그가 몽긋대기만 할 뿐 핵심적인 부분에서 전진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차리기까지 긴 시간이 필요했다. 이제는 그 자신도 이런 문제를 알게 되었으나, 또 다시 꼼수를 동원해 무마하려 들었다. 나는 그의 꼼수를 냉정하게 지적하고 단호히 물리쳤다. 더 이상 언어적 방식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특단 처방을 내렸다.

 

“2주 동안 상담을 중단한다. 생각, 독서, 글쓰기, 예술 감상, SNS를 금한다. 5, 속보로 3킬로미터를 걷는다. 3, 느낌이나 의미 따지지 말고 무조건 숲에서 일정 시간 동안 머문다.”

 

나는 더 이상 그, 정확히는 그의 생각과 언어에 희망을 품지 않는다. 결국 마지막으로 그의 몸과 낭/풀에 의지해보려고 상담치유자로서는 항복 선언이나 다름없는 처방을 택했다. 그가 몸 움직임을 통해 번다하고 교묘하게 병든 생각을 어루만질 수 있기를, /풀에게서 듣는 본성을 배울 수 있기를 기다린다. /풀의 귀가 커지는 풍경을 상상하는 이상으로 신뢰하면서.

 

당신이 아는 나의 이야기도

당신이 모르는 나의 이야기도

당신이 알 수도 모를 수도 있는 나의 이야기도

내가 알거나 모르는 당신의 이야기도

 

비로 내린다

비가 내린다

 

누군가의 피로 자기 피를 만들지 않는

식물들의 귀가 커진다

 

어떤 이야기와

다른 이야기와

함께 내리는 날

여기안쪽에선 비 오는 날이라 하고

여기바깥에선 위로와 정화의 날이라 한다

 

내가 아는 당신의 이야기와

내가 모르는 당신의 이야기와

내가 알 수도 모를 수도 있는 당신의 이야기와

당신이 알거나 모르는 나의 이야기

 

비로 내린다

비가 내린다

 

김선우 제6시집 내 따스한 유령들에 실린 <비의 열반송> 전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