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향모를 땋으며 - 토박이 지혜와 과학 그리고 식물이 가르쳐준 것들
로빈 월 키머러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포타와토미족 이야기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식물이 한 언어를 쓰던 때가 있다고 기억한다. 우리는 자신의 삶이 어떠한 모습인지 서로 이야기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 선물은 사라졌고 그만큼 우리는 빈곤해졌다.
같은 언어를 말하지 못하기에 과학자로서 우리 임무는 이야기를 최대한 멋지게 엮어내는 일이다. 우리는 연어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직접 물을 수 없으므로 실험으로 묻고 그들의 대답에 신중히 귀 기울인다.......그렇게 우리는 정확히 알 수 있다. 우리는 염도가 귀화종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을 진행한다. 그렇게 우리는 정확히 알 수 있다. 우리가 측정하고 기록하고 분석하는 방법은 생명 없는 것처럼 보일지도 모르지만, 우리에게 이 방법은 인간 아닌 종의 수수께끼 같은 삶을 이해하는 통로다. 경외와 겸손으로 과학 하는 일은 인간 너머 세계와 호혜관계를 맺는 곡진한 행위다.(370~371쪽)
과학, 특히 자연과학은 인간이 발견하고 발전시킨 탁월한 인식 방법임에 틀림없다. 한 언어를 쓰던 선물이 사라진 뒤 인간이 인간 아닌 종의 수수께끼 같은 삶을 이해하는, 빈곤하나마 유력한 통로임이 분명하다.
과학만이 진리나 진실에 이르는 길은 아니라는 사실 또한 틀림없고 분명하다. 인간 너머 세계와 호혜관계를 맺으려 한다면 과학은 경외와 겸손으로 곡진히 행해야만 한다. 경외와 겸손은 분석의 극한에서 종합의 검푸른 바다로 뛰어들 때만 이루어지는 예의다. 도의 인과 사슬을 끊어야만 가 닿는 초인과의 덕이다. 미분법 문명에서 적분법 문명으로 역진해야만 얻어지는 마음 자세며 몸 실천이다. 수식적 삶에서 서사적 삶으로 확장해야만 열리는 기품이다. 이 기품 있는 과학이 서사과학이다. 서사과학을 나는 대승과학이라 이름 한다. 대승과학 행위가 인간 아닌 종의 수수께끼 같은 삶을 통해하는 대승언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