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향모를 땋으며 - 토박이 지혜와 과학 그리고 식물이 가르쳐준 것들
로빈 월 키머러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스승은 당신이 준비되었을 때 찾아온다.......들으려면 침묵해야 한다.(327쪽)
우치다 타츠루(『소통하는 신체』)를 따르면 무도 수련에서 제자는 스승한테 ‘절대적으로 지는 법’을 배운다. 절대적으로 지기 위해 몸을 절대적으로 이완된, 그러니까 위험한 상태에 둔다. 스승 칼날 아래 흔쾌히 목을 내민다. 절대적으로 위험한 상태에서 절대적으로 지는 법을 배움으로써 절대적으로 이기는 법을 배운다는 이치다.
여기 “들으려면 침묵해야 한다.”는 말과 정확히 같다. 스스로 떠들면서 스승의 말을 제대로 들을 수는 없다. 떠들지 않는다는 데서 침묵이란 조건은 끝나지 않는다. 더 중대한 침묵 조건은 스승의 언어를 제 언어로 번역하지 않는 일이다. 이 번역은 원천적으로 오역일 수밖에 없다. 오역이라는 사실을 제자는 모른다. 제자는 ‘스승께서 말씀하신 대로 했다.’고 강변한다. 강변은 허위 유능감정을 반영한다. 허위 유능감정은 배움이 형성되지 않았다는 증거다.
이 증거를 우리 대부분은 가지고 있다. 설명 잘하는 수학 선생님이 칠판에 쓰면서 풀어줄 때, 고개 끄덕이는 일과 스스로 푸는 일이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모를수록 수학 점수가 낮다는 경험적 증거 말이다. 증거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깨치지 못하는 까닭은 고개 끄덕이는 일이 오역(일 따름인 번역)이라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이다.
상담치료 임상에서도 이런 경우가 어렵다. 치료자가 말할 때 고개를 크게 끄덕이며 수긍했는데 그 다음에 와서 전혀 다른 말을 하는 사람. 단순한 오해일 수도 있으나, 이를 반복한다면 결국 이 사람은 들을 생각 없고 자기 말만을 하는 치료저항성 환자다. 정말 어려운 경우가 하나 남아 있다. 치료자의 상세한 설명을 듣고 허위 유능감정에 사로잡혀 스스로 병을 통제하겠다며 발길을 끊는 사람. 이런 사람 의외로 많다. 물론 바로 그게 중병인데 속수무책이다.
속수무책이라는 표현에는 내 어수룩함, 아니 모자람이 묻어 있다. 환자로 하여금 허위 유능감정에 사로잡히지 않도록 하려면 곡진함에 짝하는 결곡함이 있어야 한다. 결곡함은 전략이 차마 명함 내밀 수 없을 정도로 영적 카리스마가 갖추어진 상태를 말한다. 영적 카리스마를 갖추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반성한다.
반성은 이미 전복된 사유를 반영한다. “제자는 당신이 준비되었을 때 찾아온다.......말하려면 침묵시켜야 한다.” 제자의 침묵은 제자만의 조건이 아니라 스승의 조건이기도 하다. 참 제자가 흔쾌히 침묵함으로 스승을 기다리듯 참 스승은 제자로 하여금 흔쾌히 침묵하도록 함으로 찾아간다. 스승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자는 제자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자를 모순으로 끌어안아 창조해낸다. 살육과 생육을 한칼에 이루어버리는 윤리학이다. 윤리학은 역설 수리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