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모를 땋으며 - 토박이 지혜와 과학 그리고 식물이 가르쳐준 것들
로빈 월 키머러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색을 조합할 때 보색을 쓰면 각각의 색깔이 더 선명해지는데, 한 색을 살짝만 넣어도 다른 색이 두드러진다.......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색들은 눈 속에서 번갈아 가며 서로를 유도하는 색들이다.......보라색과 노란색은 이런 짝이다.

  .......노란색 덩어리를 오랫동안 쳐다본 뒤에 흰색 종이로 시선을 돌리면 잠깐 동안 종이가 보라색으로 보인다. 이런 '색 잔상'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보라색 색소와 노란색 색소 사이에 활기찬 상호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이다.(76)

 

보라색과 노란색의 짝.......지혜는 한 아름다움이 나머지 한 빛을 받아 더욱 빛난다는 것이다.......그 아름다움은 내게 호혜를 요구한다. 보색이 되라 한다. 자신이 베푼 아름다움의 답례로 나도 뭔가 아름다움을 유도하라 한다.(78)

 

아주 부주의한 사람이지만 않다면 색 잔상 현상을 경험한 기억이 있다. 아주 주의 깊은 사람이 아닌 한 왜 그런지 골똘히 생각한 기억은 없다. 고맙게도 놀랍게도 식물생태학자인 저자가 묻지도 않은 그 답을 준다. 보색 사이에 활기찬 상호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이란다. 상호작용이란 무엇인가? 이 문제 또한 골똘히 생각하지 않는 사람에게 고맙게도 놀랍게도 다시 답을 준다. “서로를 유도하는일이란다. 유도란 무엇인가? 사실 이 질문은 필요 없다. 답이 나와 있다. 다만 달리 표현된 두 답 사이를 이어주는 말이 없기에 일부러 질문한다.

 

각각의 색깔이 더 선명해지는현상, 그러니까 한 아름다움이 나머지 한 빛을 받아 더욱 빛난다는 것과 잔상 현상은 다른가, 같은가? 있을 때 더 선명해지는 현상과 없을 때 잠깐 동안 잔상이 나타는 현상은 본질에서 같고 양상에서 다르다. 없을 때 잔상이 나타나는 현상은 이치 측면을 드러내준다. “이게 상호유도다.” 있을 때 더 선명해지는 현상은 이치가 발현된 전경을 펼쳐 보인다. “상호유도하면 이렇다.” 이 같고도 다른 관계를 통해 보색 지혜가 인간에게 호혜를 요구한다. /풀 유도처럼 인간도 다른 존재 속 아름다움을 유도해야만 한다.

 

인간이 다른 종 생명과 함께 있으면 각각 아름다움이 동반상승해야 한다. 현실은 그 반대다. 인간을 이슥히 들여다보다가 허공으로 눈 돌리면 다른 종 생명이 잔상으로 나타나야 한다. 현실은 그 반대다. 함께로도 홀로로도 인간은 내남 아름다움 모두를 갉아먹는다.

 

나는 내 본성의 본원인 버드나무 순례를 계속하고 있다. 순례는 나를 이슥히 들여다보다가 허공으로 눈 돌리면 버드나무 잔상이 나타날 때까지다; 나와 버드나무가 함께 있으면 내 빛으로 버드나무가, 버드나무 빛으로 내가 더 아름다워질 때 까지다. 아브라카다브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