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향모를 땋으며 - 토박이 지혜와 과학 그리고 식물이 가르쳐준 것들
로빈 월 키머러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온 세상이 상품이라면 우리는 얼마나 가난해지겠는가. 온 세상이 끊임없이 움직이는 선물이라면 우리는 얼마나 부유해지겠는가.(057쪽)
“다음 단계의 경제는 우리 모두의 선물을 이끌어내는 경제가 될 것이다. 경쟁보다 협력을 강조하고, 쌓아두기보다 나누기를 장려하고, 선형적이 아니라 순환적인 경제가 될 것이다. 돈이 곧 사라지지는 않겠지만, 좀 더 선물에 가까운 속성을 띤 채 지금보다 축소된 역할을 할 것이다. 경제는 축소되지만 우리 삶은 더 확대될 것이다.”
찰스 아이젠스타인이 『신성한 경제학의 시대』에서 한 말이다.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는지 궁금하지 않거니와, 로빈 월 키머러와 찰스 아이젠스타인은 지닌 생각이 놀랍도록, 아니 당연히, 본성에서 일치한다. 여기 선물 이야기를 하는 동안 내가 전에 『신성한 경제학의 시대』 주해리뷰 썼던 부분을 여러 번 다시 들여다볼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결국 같은 말이면서 조금 다른 뉘앙스를 서로 보충해주는 이 말들을 바짝 붙여 다시 음미해 본다. 온 세상이 상품이라면 우리는 얼마나 가난해지겠는가. 온 세상이 끊임없이 움직이는 건물이라면 우리는 얼마나 부유해지겠는가. 경제는 축소되지만 우리 삶은 더 확대될 것이다. 마치 짜 맞추기라도 한 것처럼 두 말은 서로 얼싸안고 있다.
그러고 보면 선물 얘기를 하는 두 사람 자체가 서로에게 선물이다. 그 선물들은 또 내게 선물이고 나는 다시 누군가에게 선물이어서 돌아 흘러간다. 돌아 흘러 이뤄내는 네트워킹, 그러니까 영적 공동체가 창발을 일으키면서 장엄선물을 온전하게 한다. 하느님나라라 하든 극락정토라 하든 대동세상이라 하든 우리 비원이자 축제다.
온 삶이 비원이라면 우리는 얼마나 슬퍼지겠는가. 온 삶이 끊임없이 넘실대는 축제라면 우리는 얼마나 흥겨워지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