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향모를 땋으며 - 토박이 지혜와 과학 그리고 식물이 가르쳐준 것들
로빈 월 키머러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우리 이야기에서는 모든 식물 중에서 윙가슈크라고 하는 향모가 대지에서 가장 먼저 자랐다고 한다.(018쪽)
로빈 월 키머러가 속한 포타와토미족이 윙가슈크라고 부르는 향모는 벼과식물에 속한 ‘잡초’다. 보리·밀 정도면 모를까, 옥수수가 벼과식물이라고만 해도 깜짝 놀라는 형편이니, 우리 이야기에서 향모를 주목한 역사는 없다. 그러나 나는 아로마 향을 처음 맡는 그 순간 향모가 벼과식물이라는 사실을 대뜸 알아차렸다. 10세 이전에 맡은 살아 있는 벼 대궁 냄새를 기억해낸 덕이다. 아니, 그 보다 훨씬 오래된 연원이 있다.
아기가 태어났음에도 어머니한테서는 젖이 단 한 방울도 나오지 않았다. 할머니께서 미음을 만들어 솜으로 배어들게 한 다음 내 입술에 대고 살살 눌러서 먹이셨다. 갓 태어난 아기라 수저를 쓸 수 없었기 때문이다. 생애 처음 맡은 냄새가 모유 아닌 쌀이었으므로 벼 대궁 냄새를 선연히 기억에 아로새길 수 있었으리라. 이렇게 내 인생 “대지에서 가장 먼저 자랐다고” 할 수 있는 “향모”를 66년 만에 다시 만난 셈이다.
윙가슈크와 벼[쌀]는 다르고도 같다. 윙가슈크 이야기와 벼[쌀] 이야기는 다르고도 같다. 향모 드림-땋은 다발-이 로빈 윌 키머러에게 신성한 결과 미음이 강 용원에게 신성한 결은 다르고도 같다. 같아서 축복인 만큼 달라서 축복이다. 각각 이야기는 서로에게 은유가 되어 삶 모두를 풍요롭고 경이로운 풍경으로 빚어간다. 이 풍경이 이야기 본성이고 소식이며 기운이다. 향모 이야기와 벼 이야기는 함께 새 세계를 열고 있다.
내 이야기에서는 모든 식물 중에서 갓 태어난 나를 미음으로 살린 벼가 대지에서 가장 먼저 자랐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