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처럼 생각하기 - 나무처럼 자연의 질서 속에서 다시 살아가는 방법에 대하여
자크 타상 지음, 구영옥 옮김 / 더숲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무는 인간 정신을 영적이고 내밀한 측면으로 안내하지만 이성 모델이기도 하다.......나무 형상은 특히 인간이 모든 혼란에서 논리적 구조를 도출하는 데 적합하다.


   .......나무는 논리적 진행에 형상을 부여한다.(138)

 

인간은 인간만이 감정·이성·의지로 이루어진 정신, 정신을 조절하는 혼, 혼 네트워킹인 영, 영 활동으로 일어나는 창발인 신을 지닌다고 굳게 믿지만, 이 모두 나무가 그려낸 풍경이다. 무엇보다 인간의 자랑인 이성이야말로 나무 풍경에서 빛나는 전경이다. 나무 형상이 인간 논리 구조와 진행에 모델로 작용한다. 부동의 진실임에도 수긍하고 내용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좀 더 되작여볼 필요가 있다.

 

나무 형상은 치밀한 나무 화쟁의 산물이다. 화쟁은 더도 덜도 없이 적확하게 문제를 파악하고 솔루션을 마련하는 과정으로서 날카로운 이성 아니면 실행이 불가능하다. 화쟁을 진행하는 동안 감정 부침, 의지 소장消長 같은 요동으로 나무이성이 균열하는 경우란 없다. 통전 이성이 화쟁으로 만들어내는 솔루션은 그러므로 실패커녕 실수도 없다. 나무 형상 놓고 뭐라 하는 인간 평가는 종편견일 따름이다.

 

옹골차게 정색하고 음미해보자. 이성이라는 인간 언어는 인간 정신 한 측면을 가리키는 은유다. ‘인간 은유를 나무가 적용하는 일이 가당한가?’를 묻는다면 이는 도착이다. 로빈 월 키머러의 어법으로 진실을 말한다. “나무 적응adaption에서 비롯한 은유를 인간이 적용adoption해 언어가 되었다.” 그러니 균열한 인간 이성을 온전함으로 복귀시키려 명상·참선 따위에 매달리지 말고 나무를 껴안으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