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처럼 생각하기 - 나무처럼 자연의 질서 속에서 다시 살아가는 방법에 대하여
자크 타상 지음, 구영옥 옮김 / 더숲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닫힌 공간에서 배아가 성장하지 않는 식물, 특히 나무에게 형태 확장은 매우 자유롭다.......나무는 성장하는 동안, 스스로 그 과정을 조절한다. 가지가 나뉠(분기) 때 최대로 팽창하므로 매번 주변 분기 활동과 양립할 경우에만 성장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나무 조화는 늘리는 힘에서 나와 지속적인 자기조절을 통해 이루어지는 반면, 동물 조화는 억압적인 외력 논리에서 탄생한다.......나무가 만든 공존하는 자유로운 조화는 인간이 생각한 조화를 넘어선다.(117~118)

 

모 일간지에 동물보호단체가 제시한 종차별 언어 변경 주장이 실렸다. 무슨 의도인지 이해하지만, 가소로운 내용이 하 많아 실소를 금치 못했다. 예컨대, ‘팁을 팁으로, ‘웃기다를 웃기다로 바꾸자는 주장. 한심한 설명 수준도 수준이려니와, 식물을 함부로 대하는 저들이야말로 종차별주의자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으니 적잖이 안타깝다.

 

배아 성장 메커니즘 차이가 천지를 가른다. 나무는 자유로운 자기조절이 본성이고, 인간 포함 동물은 억압적인 외부조절이 본성이다. 당연하게도 나무가 만든 공존하는 자유로운 조화는 인간이 생각한 조화를 넘어선다.(을 먹는 동물)과 개를 위한 저급한 word play에 귤과 깨를 부박하게 동원하는 인간 조화가 무슨 수로 귤과 깨 조화에 필적하겠나.

 

로빈 월 키머러 말마따나 인간은 겉만 훑어보면서 보고 있다고 생각한다.”(이끼와 함께23) 태어난 자리에서 죽음을 맞이하며, 인간처럼 말하고 듣지 못하며, 저항 없이 죽어주니까 나무를 대놓고 하등생명체 취급한다. 참람하고 맹랑한 거들먹거림에 인간이 취해 있는 동안도 나무는 자기조절을 통해 세계 조화를 창조해간다. 나무妙法調和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