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처럼 생각하기 - 나무처럼 자연의 질서 속에서 다시 살아가는 방법에 대하여
자크 타상 지음, 구영옥 옮김 / 더숲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고정관념에 빠지는 경향이 있지만, 나무는 형태, 장소, 변화에서 거의 고정된 것이 없다. 나무는 확고한 이데아가 없다.......세계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며 변화, 우연과 필연의 결합을 따른다.

  식물은 형태, 크기, 색의 변화와 함께 동물보다 매우 고등한 형태적 유연성을 지니고 있다. 특정 서식지와 관련된 지표식물이 아닌 한, 일반적으로 식물은 매우 폭넓은 환경에서 성장한다.(93~94)



인간은 동물 본성상 고정된” “확고한 이데아DNA에 심어져 있다. 종교, 과학, 국가 삼각동맹이 유연성을 증오하는 까닭이다. 인간은 그 경직성 때문에 도망질을 생명 종지로 삼는다. 도망질 말고 달리 방도가 없다. “세계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 “변화, 우연과 필연의 결합을 따르기에는 너무나도 불안하고, 탐욕스러우며, 어리석으니 인간 어쩔

 

丈夫自有衝天氣장부자유충천기

不向如來行處行불향여래행처행

 

뜨르르한 불교 경구. 세계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 변화, 우연과 필연의 결합을 따르는 장부는 부처 이데아를 거절하고 하늘을 바로 찔러간다는 말이다. 나무 기상이 아니고 무엇이랴. 그 살아 있는 나무 기상을 폭넓은 환경에서 성장하는 지혜로 삼지 못하고, 나무 베어 불상이나 만들어 절하느라, 접힌 유연성을 끝내 온전히 펴지 못하니 불교 어쩔

 

나더러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천국에 다 들어갈 것이 아니요,

다만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들어가리라

 

뜨르르한 신약 구절. 이신득의 이데아 고정관념에 편승하는 자가 하느님나라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 변화, 우연과 필연의 결합을 따름으로써 하느님나라 본성을 구현하는 자만이 들어간다는 말이다. 나무 기상이 아니고 무엇이랴. 접힌 유연성조차 없이 석탄절 봉축법요식장 쫓아가 오직 예수나 떠벌이니 개신교 어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