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처럼 생각하기 - 나무처럼 자연의 질서 속에서 다시 살아가는 방법에 대하여
자크 타상 지음, 구영옥 옮김 / 더숲 / 2019년 7월
평점 :
꽃은 식물에게 특히 예민한 부분인 듯하다. 꽃을 생식을 위한 구성요소, 심지어 생식기관으로 축소함으로써 해석은 너무나 단순해졌다.
그러고 보면 식물 감각 연구에서 꽃보다 잎을 주요 대상으로 삼은 구조는 애석하다. 어떻게 다른 생물(곤충)과 은밀히 만나도록 주선하는 꽃에 성적 예민함이 없다고 상상하겠는가?......꽃은 살아 숨 쉬는 이타적 존재이자, 이를 통해 타자를 유혹하는 유일한 식물 부위다.(74~75쪽)
"유혹"이라는 말을 좋은 뜻으로 쓰는 경우는 비유일 때 말고는 없다. “이타”는 유혹과 어울리지 않는 정도를 넘어, 모순에 가깝다. 꽃은 어떻게 이 둘을 잇는가? 이타도 유혹도 인간의 윤리의식이 배어 있는 표현이다. 꽃을 인간의 관지로 보니까, 이타와 유혹이 서로 부딪친다. 꽃의 관지에서 보면, 생명공동체 일원으로서 투명하게 네트워킹에 참여하는 행위는 다음 둘의 맞물림이다. 타자에게 필요한 무엇을 주려고 극상으로 창조한다. 자기에게 필요한 무엇을 받기 위해 극상으로 매혹한다. 생명 이치에서 비대칭의 대칭은 자연Sollen이다. 인간의 분리 인식으로 각 세울 일 없다. 정색하고 다시 감지하면, 이타적일수록 유혹은 강렬하고, 유혹적일수록 이타는 숭고하다. 이 역설 연금술은 꽃이 태고부터 연마해 극상 풍요를 이룬 절정고수 초식이다. 이성에게 권력을 맡긴 뒤부터 인간은 이 초식에 관한 한, 전신마비가 되었다. 마비를 풀 방도가 혹시 “꽃은 꽃이 아니다.”란 말과 “꽃은 꽃이다.”란 말이 포개지는 찰나를 잡아채는 데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