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처럼 생각하기 - 나무처럼 자연의 질서 속에서 다시 살아가는 방법에 대하여
자크 타상 지음, 구영옥 옮김 / 더숲 / 2019년 7월
평점 :
영양분의 부족과 종의 풍요는 양립한다. 심지어 조화를 이루면서 말이다. 토양의 척박함은 식물 증식에 안정을 주고 구성원 각각이 조화롭게 공생하도록 한다.
모든 식물생태계에서 식물의 공생뿐만 아니라 생태계 안정은 영양이 부족하거나 다양한 영양을 공급받지 못하는 결핍 상황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우리는 대부분 열대우림의 풍요가 비옥한 토양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토양은 넘치는 강우에 씻겨나간다. 땅속 비옥함이 재생되는 곳은 다름 아닌 나무다.(55~56쪽)
귀 밝은 인간은 리베카 솔닛의 “재난공동체”를 이미 들어 알고 있다. 재난공동체의 원조는 나무다. 나무의 생명원리를 심신에 지니고 있던 인간이 “부족”과 “결핍” 상황에서 영양 공급의 평등을 이루는 “절제”(57쪽)를 발휘하는 것이다. 코 밝은 인간은 이제 기후위기와 마주친 인류가 풍길 재난공동체의 향기를 미리 맡아 알고 있다. 그 향기는 피토케미컬이다. 피토케미컬은 휴먼케미컬로 하여금 대멸종을 막는 근원적radical이고 급진적radical인 길로 가도록 이끈다. 종말론적 민주주의, 그 네트워킹을 향한 길에 다른 선택과 우회의 여지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