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물은 위대한 화학자 - 잃어버린 식물의 언어 속에 숨어 있는 생태적 의미
스티븐 해로드 뷔흐너 지음, 박윤정 옮김 / 양문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수십, 수백, 수천 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숲은 이곳에서 저곳으로 이동한다.......새로운 지역에 정착하기 전에 개척 종 식물을 먼저 보내 준비한다.......이들의 출현은 식물종의 대규모 이동.......생태계의 느린 변화를 예고한다.(243, 249쪽)
북미대륙 서남부 소노라 사막에는 천년도 넘는 세월에 걸쳐 싹을 틔우고 자라나면서 식물 군도archipelago, 그 너머 또 하나의 생태계를 일으키는 아이언우드가 있다. 아이언우드가 이끄는 숲의 이동에 관해 이 책은 20쪽에 걸쳐 이야기한다. 그 중에서 “새로운 지역에 정착하기 전에 개척 종 식물을 먼저 보내 준비한다.”는 문장이 나를 오랫동안 부여잡고 있었다.
전쟁 중인 군대에서 척후를 파병하든, 유목민이 새로운 목초지를 찾기 위해 선발대를 파견하든, 이 모두 숲이 개척 종 식물을 먼저 보내 준비하는 이치를 따른 것이다. 오늘의 인간은 숲이 이동한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한다. 무지는 자기부정이다. 자기부정은 배은망덕이다. 숲의 이동이 인간 진화를 이끌었기 때문에 그 과정 자체가 인류의 역동적 자궁이니 말이다.
바로 이 순간에도 천천히 숲은 이동하고 있다. 인간은 배은망덕의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하는 숲의 영으로 복귀해야 한다. 복귀는 진화의 철회가 아니다. 숲의 생명네트워킹 안에서 인간 진화가 무엇인지 깨달아 겸허한 참여를 모색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