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물은 위대한 화학자 - 잃어버린 식물의 언어 속에 숨어 있는 생태적 의미
스티븐 해로드 뷔흐너 지음, 박윤정 옮김 / 양문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공간 속에 묶여 있기는 하지만 식물의 뿌리는 극히 넓은 표면영역을 확보한다. 한 예로, 호밀 한 그루는 1300개 이상의 가는 뿌리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의 길이를 합하면 1100km에 이른다. 이 가는 뿌리는 뿌리털로 덮여 있으며, 약 140억 개나 되는 뿌리털 길이를 합하면 10600km나 된다. 이 모든 뿌리 표면에서 화학물질이 각기 다른 위치에서 각기 다른 양으로 분비되는데, 이 물질들이 식물이 살아가는 동안 부근 생물군락을 조절한다.......식물과 그 근계에 사는 균·충, 미소식물 사이에는 아주 복잡한 관계가 형성된다. 쌍방향의 매우 정교한 피드백 고리를 통해 정보가 전달되면, 식물은 이를 토대로 화학물질을 생산한다. 식물이 생산하는 가벼운 화합물은 대부분 근계 속으로 분비된 뒤, 그곳에 사는 생물에 의해 중합체 같은 더 복잡하고 무거운 화합물로 변형된다.......이렇게 변형된 화합물은 토양 속에서 다른 식물이나 토양 미생물 화합물과 결합해 부식腐植산을 생산한다. 부식산은 생태계 조절과 오양의 비옥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그러므로 토양의 건강은 근계 생물군락과 식물의 이차화합물하고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이 근계 생물군락은 생명네트워크를 떠받치고 있는 박테리아 건강에도 크게 기여한다. 박테리아 건강 유지는 물론 식물의 화합물은 근계를 태양과 연결해주기도 한다. 중재자인 식물은 화학물질의 종류와 양을 조절해 토양을 최적상태로 유지한다. 이런 작용을 해줌으로써 식물은 건강과 성장을 보장받는다.(207~211쪽)
호밀 뿌리의 길이가 1100km에 이른다는 이야기를 자크 타상Jacques Tassin은 『나무처럼 생각하기Penser comme un arbre』에서 호밀 뿌리의 “표면적이 400㎡에 이른다.”(59쪽)고 표현한다. 어떤 차이를 느끼는가?
스티븐 해로드 뷔흐너가 “극히 넓은 표면영역을 확보”하는 것을 증명하는 데에 식물 뿌리의 표면적 아닌 길이를 제시한 이유는 인간에게 친숙한 방식을 무심코 따랐기 때문이다. 인간이 서로의 신체 규모를 표현할 때 신장은 요건이지만 표면적은 요건이 아니다. 1100km 하면 대뜸 놀랍다는 표정을 짓지만, 400㎡ 하면 맹한 표정을 짓는다. 그 넓이가 인간 210명의 표면적에 해당한다고 비교해야 비로소 구체적 반응이 온다. 그마저도 1100km처럼 와 닿지 않는다. 시간 감각이 도와줄 수 없기 때문이다.
자크 타상의 이야기를 더 들어보자. “나무에서 영감을 얻는 것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우리가 나무를 바라보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다.”(60쪽) 인간을 바라보는 방식으로 나무를 바라본다는 것이 핵심 아닐까 싶다. 낭·풀의 생명원리에서 이탈한 뒤 인간의 삶은 표면적을 변방 요소로 밀어냈다. 중심은 부피다. 부피의 대부분은 장기organ다. 장기는 내부의 근거가 된다. 이로써 인간은 심신의 안팎이 분리되는 생명체가 된 것이다. 낭·풀은 안팎이 분리되지 않는다. 안팎이 분리되지 않는 “살아 있는 껍질”(58쪽)이 낭·풀이다.
껍질로 살아갈 때 표면적은 modularity, networking, collective intelligence를 한껏 구현하는 조건이자 결과다. 그 조건과 결과가 어떻게 낭·풀 자신과 그 주위 세계를 움직이고 있는지 개관해준 본문을 낭·풀의 눈으로 다시 한 번 정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