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은 위대한 화학자 - 잃어버린 식물의 언어 속에 숨어 있는 생태적 의미
스티븐 해로드 뷔흐너 지음, 박윤정 옮김 / 양문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사실 조제양약의 대부분은 질병을 치료하지 못한다. 몸속에 일정량의 화학매개물을 주입함으로써 병의 증상을 억제할 뿐이다. 한 예로, 조제양약으로는 고혈압을 치료할 수 없다. 고혈압 환자가 정기적으로 대개는 일생 동안 조제양약을 복용해야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식물과 달리, 고혈압 증상 억제제는 물론 조제양약 대부분이 일상적 식품도 아니고 인간이 진화 과정에서 섭취한 적이 있는 음식도 아니다. 그러므로 인간의 몸은 낮 동안에 대소변을 통해 이 물질들을 배설해버린다. 복용한 약물의 50-95%는 화학적인 변화나 물질대사를 거치치 않은 채 그대로 배설된다.(122~123)

 

인체에서 배출된 조제양약과 그 대사물질은 대부분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계속해서 화학적 결과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환자들이 지속적으로 복용하거나 새로운 환자가 생길 때마다 새로 처방을 내리므로, 분해가 가능한 것도 정기적으로 재공급되고 있다.

  순수한 형태로든 물질대사를 거친 형태로든, 인체에서 배설된 조제양약은 폐수와 뒤섞여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환경 속에 흘러들어 이해할 수 없는 결과를 만들어낸다. 연구에 따르면, 조제양약과 인체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부산물로 만들어진 화학물질은 본래 조제양약보다 더 오래 환경 속에서 잔존하며, 그 작용도 훨씬 강력한 경우가 많다고 한다.(124)

 

조제양약, 곧 백색화학합성물질에는 3대악이 있다. (1) 증상만을 억제할 뿐이면서 치료약이라고 기만하는 것은 물론 더 나아가 진짜 치료 기회를 놓치게 만든다. (2) 목표 증상 억제라는 작은 이득보다 훨씬 더 큰 손해를 목표 이외의 곳에서 보게 만든다. 예를 들면 해열진통제에 들어 있는 암페타민 유사물질은 정신분열증을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3) “인체에서 배설된 조제양약은 폐수와 뒤섞여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환경 속에 흘러들어 이해할 수 없는 결과를 만들어낸다.게다가 조제양약과 인체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부산물로 만들어진 화학물질은 본래 조제양약보다 더 오래 환경 속에서 잔존하며, 그 작용도 훨씬 강력한 경우가 많다.”

 

이 책에는 (2)가 빠져 있고, 내 책에는 (3)이 빠져 있다. 관심사의 작은 차이가 낳은 큰 결과다. 사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내가 받은 충격은 남다른 것이었다. 기왕에 알고 있던 농약, 환경호르몬, 플라스틱 같은 것이 아니라 인간이 복용한 약물과 그 부산물이 배설되어 이런 결과를 낳는다는 사실에는 미처 주의를 기울이지 못했기 때문이다. 곰곰 생각하니 이 또한 내 내면에 잔존해 있는 인간중심주의라는 결론이 나온다. 중독은 참으로 끈질기다. 날은 저물고 갈 길은 멀다日暮途遠. 예측도 이해도 불가능하지만 기어코 닥치고야 말 파국을 코앞에 두고도 설마 하며 살아간다는 것은 얼마나 참혹한 저주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