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물은 위대한 화학자 - 잃어버린 식물의 언어 속에 숨어 있는 생태적 의미
스티븐 해로드 뷔흐너 지음, 박윤정 옮김 / 양문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내 생의 ‘마지막 공부’를 한다. 영을 지득하고知靈 증득하고證靈 용득하는用靈 모든 과정의 증보판이자 결정판을 준비하는 것이다. 완공이 가능한지, 그렇다면 얼마나 걸릴지 모르는 영가靈家를 건축하는 것이다. 영가는 영의 본성을 담는 그릇이다.
영은 신비주의, 그러니까 종교적 아라한 카르텔이 전유하는 경지가 아니다. 과학(적 합리)주의, 그러니까 수리·물리 인과율이 백안시하는 미신은 더욱 아니다. 영은 보편/전체 세계의 네트워킹이자 그것을 향해 열려 있는 특수/개체 존재의 참여 사건이다. 영은 평범하고 평등한 모든 존재가 고유한 필요에 따라 평화롭게 물질과 에너지, 그리고 소식을 선물로 주고받는 소미심심小微沁心의 느낌, 알아차림, 받아들임 작용이다.
소미심심小微沁心의 느낌, 알아차림, 받아들임 작용이므로 영은 거대 일자의 인격적 속성일 수 없다. 영은 생사를 가로질러 종차를 넘어서서 배어들고 번져간다. 그렇게 바리와 원효의 인도를 받은 내 영은 마침내 낭·풀(나무와 풀을 따로 또 같이 표현하기 위해 만든 말)에 와 닿았다. 낭·풀에 닿은 내 영은 사람 삶과 낭·풀을 이전과 사뭇 다르게 느끼고 대한다. 물론 영 자체를 느끼고 대하는 감각이 달라졌다는 사실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달라짐의 구체성에서 보자면 가장 중요한 것은 단연 내 의학이다. 기존 의학 극복을 낭·풀과 숲의 영성이 향도한다.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지만 상상 가능한 변화는 극적이라 할 만하다.
이 변화 과정 밑바탕에 5천 쪽에 달하는 책들이 깔려 있다. 가장 최근에 읽은 책이 바로 스티븐 해로드 뷔흐너의 『식물은 위대한 화학자』다. 원제는 THE LOST LANGUAGE OF PLANTS: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Plant Medicines for Life on Earth다. 첫 출간한 지 거의 20년 된 책을 읽으면서 오늘날 상황을 살피는 일은 만시지탄의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이제라도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새로운 눈을 더불어 뜨는 일이 불가피하다고 느껴져서 서두르는 마음결 다독이며 책상 앞에 앉는다.
이 서재 『녹색의학 이야기』에서 현대의학, 그러니까 백색의학을 비판하면서 미처 보지 못했던 부분을 『식물은 위대한 화학자』는 일찌감치 문제 삼았다. 지금 쯤 문제는 훨씬 더 심각해졌을 테고 그만큼 낭·풀 의학 복원과 패러다임 교체 필요성은 긴급해졌으리라. 코로나19가 발목을 잡고 있는 이때 변방 임상의로서 내가 무슨 일을 어떻게 할 수 있을지 아득하나 되작거리고 집적대고 끼적거리고 덤벼본다. 누가 알랴, 묵시록 한 바탕 나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