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블루 in 그린세러피



  ☸ 셋째 구비-고통을 정확히 드러내게 하다

 

어두운 감정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억압, 퇴출의 헛된 노력이 습관으로 쌓인 마음병 앓는 사람에게는 드러난 감정과 숨겨진 감정, 그러니까 몸 반응으로서 감정 사이가 어긋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거듭되는 삶의 실패가 내면에 고착시킨 부정적 예기가 밖으로 드러낸 낙관적 소망을 제압해버리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아픈 사람은 살아남기 위해 무심코 비관적 소망을 드러내는 방어 전략을 씁니다. 두 가지 이득이 있습니다. 바라는 대로실패하더라도 덜 실망스럽고, ‘요행히성공하면 갑절로 기쁘니 말입니다. 이런 삶이 지속되면 아무리 노력해도 성취가 안 되거나, 되더라도 미미합니다. 마음병 앓는 이에게 거의 전혀 예외가 없습니다.


이 어긋남을 따뜻하게 받아 안는 일이 중요하다는 것은 앞 구비에서 이미 말씀드렸습니다. 그러고 나서 해야 할 일은 유심히, 그러니까 대놓고 숨겨진 감정을 드러내는 일입니다. 이를테면 정면으로 작정하고 어긋나게 하 것이지요. 부정적 평가 때문에 억압되어 있던 감정을 예술적으로 정확히 드러내면 됩니다. 무심코 하는 방어는 병적 증상이지만 유심히 하는 표현은 치료 행동입니다. 이 구별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억압되고 비틀린 표현을, 예술적으로 정확히, 연극배우가 연기하듯, 각가지 감정의 결은 물론 몸 증상까지 섬세하게 감지하여 낱낱이 표현함으로써 아픈 사람 스스로 그 억압과 비틀림에서 해방되도록 하는 전복이니 말입니다.

 

감정은 실제 사건과 연결되어 있는데, 그것을 생생하고 자세하게 떠올려야 더 좋은 치료 효과가 나타납니다. 특히 충격적인 외상이 있다면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합니다. 가령 성폭행처럼 큰 사건이라면 내부 장기의 느낌과 근육 상태는 물론 신체 발육 상태까지 고려하되 무리해서는 안 됩니다. 고통을 재현시킬 뿐만 아니라 증상을 심화시키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그냥 떠올리는 것은 안 됩니다. 정확한 자기 언급self reference 없는 떠올림은 치료가 아닙니다. 자기 언급이 해방의 시공간을 창조하고, 그 해방은 감흥을 일으키고, 그 감흥이 자유의 세계로 나아가게 합니다. 반드시, 그렇다고, 그래서 아프다고 예술적으로 정확히 말해야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