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사유 - 식물 존재에 관한 두 철학자의 대화
루스 이리가레.마이클 마더 지음, 이명호.김지은 옮김 / 알렙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리가레: 우리는 살아 있는 세계와 병행할 뿐 아니라 스스로 살아 있으면서 생명을 키우는 일에 관여하는 언어를 만들 수 있을 까요? 예를 들어, 우리의 언어 사용 방식은 다른 숨결과 온기와 습도와 지상에 소속됨과 머무름을 불러올 수 있을 까요? 그렇지 않고 우리는 새로운 언어를 발명해야 할까요? 아니면 이 두 활동을 결합해야 할까요?(132~133)

 

마더: 어떻게 하면 나의 말이.......생명에 봉사하도록 할 수 있을까요?.......내가 하지 말아야 할 일에는 식물과 원소의 에너지를 뽑아내 언어적 표현 속으로 끌어들이는 것, 부호와 기호가 불가피하다는 사고를 수용하는 것,.......바깥 세계를 순수오성의 위임을 받은 엄격한 의미구조 속으로 흡수해 들이고, 이 의미구조를 다시 바깥 세계로 투사하여 의인화하는 것이 있습니다. 나는 내가 해야 할 일.......은 밖으로 나가 자신의 감각과 생각을 원소와 식물에게 드러내고, 그 감각과 생각이 자신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비음성적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입니다.(296~297)

 

최근 우리나라 농촌진흥청이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식물은 화학언어로 인간이 보낸 신호에 반응한다. 야생종·토종 식물이 더 잘한다. 특히 해를 입힌 사람에게 훨씬 더 민감/강하게 반응한다. 이 내용을 가지고 얼마나 일반화할 수 있는지 속단하기 이르지만 가능한 상상의 범위는 짐작 가능하다. 야생은 인간과 독립된 경계성으로, 토종은 생태적 인접성으로 논의 지평을 열어준다. 해를 입힌 것은 그와 상반되는 경우를 포함해 다양하게 정서적 교감 문제를 살펴볼 여지를 제공해준다. 실험에 입김을 사용한 것을 토대로 상상해보면 비음성적 방식을 너무 엄격하게 이해해서는 안 될 듯하다.

 

인간중심적 기호 언어가 식물들에게 의미 수탈로 작동하는 것을 경계하는 이리가레와 마더의 말에 토를 달 이유는 없다. 그들이 식물 생명을 대하는 근본 태도에 비추어 당연하다. 여전히 추상적이고 원론적인 것은 아쉽다. 그들이 식물 생명과 나눈 교감의 내용과 특징이 무엇인지 가늠하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 아무리 해도 식물 생명은 우리 신호를 이해하고 반응하지만 우리가 반응할 수는 없는 것인가? 반응한다 해도 우리가 그 사실을 지각하지는 못하는 것인가? 가보지 않은 길이라 아는 바가 없는지도 모른다. 사실 겨우 시작 단계니까 진정한 영적 각성은 여기서부터 일어나는 바로 이것이리라.

 

인간보다 위대한 대문자생명을 향해 열리는 영성은 허구다. 인간만의 공동체 안에 닫히는 영성은 환유다. 진정한 영성은 포유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로 번져가다 마침내 계의 경계를 넘어 식물로까지 번져가는 생명의 소통이며 공존이며 상호양육이며 제의다. (박테리아 넘어 바이러스 넘어 비-생명의 원소 넘어 마침내 공변양자장으로 배어드는 것까지 영성인가 물으면 천착 허무로 떨어질 테니 붓다의 무기無記로 대응한다.) 이 진정한 영성의 빛으로 비추는 언어가 투명해질 순간을 기다리며 우리는 인간 언어를 관통해 식물 언어로 나아가야 한다. 신비주의 아닌 신비가 곧 모습을 드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