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머란 무엇인가 - 농담과 유머의 사회심리학
테리 이글턴 지음, 손성화 옮김 / 문학사상사 / 2019년 8월
평점 :
유머는 상당 부분 위반 내지 이탈의 문제다. 서로 다른 현상을 나누는 경계가 흐릿해지면 엄격히 구분하려는 충동을 누그러뜨릴 수 있다. 이때 남아도는 에너지가 웃음으로 방출되는 것이다.(141쪽)
<시사인>이 415총선을 두 차례에 걸쳐 분석했다. 한 번 더 남아 있는데, 기왕의 분석을 간단히 요약한다. “415총선에서 정당과 지지층 사이의 강고한 ‘정렬’에 균열이 일어난 증거가 포착되었다. 대규모 ‘이탈’을 거쳐 ‘전향’이 일어난 것이다. ‘동원’ 여하에 따라 확고한 ‘재정렬’ 여부가 결정되겠지만, 유의미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에 틀림없다. 이 변화는 2016년 총선을 기점으로 시작되었다. 기나긴 보수 다수파 구조를 종식시킨 이 변화의 선두에 30-40대 수도권 여성이 있다.”
왜 2016년 총선이며, 왜 30-40대 수도권 여성인지, 분석 결과가 아직은 없다. 남은 차례에 나오리라 기대하지만, 일단 내 생각은 416이지 싶다. 태생적인 보수 성향과 사회 문제에 별 관심 없는 소시민적 개인주의에 침륜되어 있던 젊은 여성들에게 416, 그 무엇보다 250명이나 되는 아이들의 죽음은 통렬한 각성제로 작용했을 것이다. 416 자체도 그렇거니와 416을 대하는 보수, 정확히는 수구 세력의 폭력·협잡을 겪으면서 이탈이 일어나고, 이탈은 전향으로 이어졌으리라.
이탈과 전향은 쉽지 않다. 20세기 초반까지 우리사회는 장구한 왕정 아래 있었다. 지배집단의 말을 법이며 진실로 받아들이는 왕정시대 집단의식은 식민지·이승만·박정희와 그 패거리 시대를 거치면서 본질이 유지되었다. 아니, 다른 모습으로 강화되었다고 하는 게 타당할지 모른다. 진보는 공산주의고, 반공이 애국이라는 프레임 안에서 소시민 대부분은 공산주의자를 인간으로 취급하지 않았으니 말이다.
이탈과 전향이 가능하려면 “서로 다른 현상을 나누는 경계가 흐릿해”져야 한다. 공산주의자만 인간 아닌 줄 알았는데 그에 못지않은, 또는 그보다 더한 괴물이 반공주의자인 것을 알아버린 뒤 경계는 아연 흐릿해졌다. 민주당이 좋아서라기보다 미통당에게 더 이상 미련을 두어서는 안 되겠다 싶어 이탈하고 전향했다는 분석은 평범한 소시민의 심리 상태를 절묘하게 반영하고 있다. 동원이 일어나 재정렬로 귀결될지 아직은 미지수지만 미통당·조중동·검찰 수구카르텔의 주류적 경계가 “엄격히 구분”되는 시대로 다시 돌아가지는 않을 것이다. 찰나마다 일어서는 불멸, 저 415우스개를 잊지 않는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