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머란 무엇인가 - 농담과 유머의 사회심리학
테리 이글턴 지음, 손성화 옮김 / 문학사상사 / 2019년 8월
평점 :
유머의 가장 전통적인 기능 중의 하나는 사회개혁이다. 비판으로 인간의 잘못을 고치게 할 수는 없지만 풍자로는 가능하다. 이 경우 적대는 고상하고 정중한 결말로 이어진다.(74쪽)
415총선은 위대한 우스개였다. 이 우스개는 이름도 입도 없는 민중이 표 하나로 구사한 추상같은 풍자였다. 나경원·김진태·민경욱·이언주가 아무리 막말을 해도 민중은 비판하지 않았다. 조용히 투표장 가서 발열 체크 받고 비닐장갑 끼고 꾹 한 번 눌렀을 뿐이다. 다음날이 밝기 전에 나경원·김진태·민경욱·이언주는 웃음거리가 되어버렸다.
조선일보프레임 언론과 윤석열 검찰, 그리고 미통당이 총선을 겨냥해 작심하고 벌인 이른바 조국전쟁을 지켜보면서 민중은 저들을 비판하지 않았다. 조용히 투표장 가서 발열 체크 받고 비닐장갑 끼고 꾹 한 번 눌렀을 뿐이다. 다음날이 밝기 전에 조선일보프레임 언론과 윤석열 검찰, 그리고 미통당은 웃음거리가 되어버렸다.
이른바 조국전쟁을 거치면서 뜨르르한 진보지식명망가 최장집·홍세화·김누리·강준만·진중권은 조국과 문재인을 가차 없이 비판했다. 민중은 저들의 비판 또한 비판하지 않았다. 조용히 투표장 가서 발열 체크 받고 비닐장갑 끼고 꾹 한 번 눌렀을 뿐이다. 다음날이 밝기 전에 최장집·홍세화·김누리·강준만·진중권은 웃음거리가 되어버렸다.
웃음거리가 된 저들은 그 사실을 모른다. 저들은 태도를 바꾸지 않는다. 태도를 바꾼 것은 민중이다. 민중은 스스로의 우스개로 스스로를 저들과 함께 웃음거리가 되게 함으로써 유쾌하게 판을 뒤집어버렸다. 실제로 어떤 자가 이번 선거를 개돼지의 선거라 하지 않았던가. "그래. 나 개돼지다. 개돼지가 만든 판에서 어디 한번 놀아봐라."
촛불은 촛불이라서, 선거는 선거라서 한계가 있다고 그때마다 나서서 촐싹거리던 똑똑하고 잘난 자들을 묵묵히 견딘 결과, 민중은 시나브로 “고상하고 정중한” 치유 도정에 스스로를 놓아가고 있다. 근현대사의 격랑 속에서 불가항력적으로 영혼을 더럽힐 수밖에 없었던 치욕과 그 죄의식을 걷어내며 민중은 웃음의 지성소를 되찾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