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gène Delacroix <La Liberté guidant le peuple바탕 그림 일부


세계는 둘도 아니고 하나도 아닌 비대칭의 대칭운동이다. 쪼개진 둘의 영속화도 억압이고 포개진 하나의 영속화도 억압이다. 이 억압에 찰나적으로 금이 가거나 구멍이 뚫릴 때 인간은 울음 또는 웃음으로 반응한다. 울음은 무엇이며 웃음은 무엇인가? 어떤 경우는 울음이며 어떤 경우는 웃음인가? 문제의 근원성에도 불구하고 논의 수준은 높지 않다.


일상의 정서에서 울음은 어둠, 웃음은 밝음으로 느낀다. 극적인 상황에서 이 느낌은 뒤집힌다. 일상의 이성에서 울음은 눈물이란 물질로 나타나고, 웃음은 그런 물질로 나타나지 않는다. 극적인 상황에서 이 인식은 뒤집힌다. 고전물리학적 어법에서 울음은 입자고 웃음은 파동이다. 양자물리학적 어법에서 울음과 웃음은 상태함수 차이일 따름이다.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식으로 정리하면 울음과 웃음은 안팎으로 나뉘되 하나인 무엇이고, 하나이되 안팎으로 나뉘는 무엇이다. 안팎의 나뉨이 고정된 실체가 아님은 물론이다.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고 해서 그때그때 식별 가능한 실재도 아니라는 뜻은 아니다. 울음은 울음인 만큼, 웃음은 웃음인 만큼 실재하는 사건이다. 그 실재가 출발점이다.


태초에 울음이 있었다. 본디 울음은 웃음과 혼융된 하나였다. 울음에서 웃음이 떨어져 나오는 찰나 울음의 소향실재와 웃음의 소향실재가 나뉘었다. 울음은 하나라고 믿었는데 둘로 쪼개지는 것을 알아차릴 때 터져 나온다. 웃음은 둘이라고 믿었는데 하나로 포개지는 것을 알아차릴 때 터져 나온다. 울음은 아프되 삽상하다. 웃음은 즐겁되 씁쓸하다.


양태는 다르지만 기존의 갇힌 세계에서 이탈하는 경험과 연관된다는 점에서 울음과 웃음은 동일하다. 기존 세계에서 이탈하는 것은 다만 예외적 상황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세계의 전체 진실을 향해 변화해가는 것이다. 울음과 웃음은 둘도 아니고 하나도 아닌 방식으로 둘도 아니고 하나도 아닌 세계 진실의 열린 네트워킹에 참여하는 근원행위다.


근원행위임에도 주목받지 못한 것은 경계사건이기 때문이다. 경계사건은 계기로 작동할 때만 주목받는다. 계기인 경계사건은 각성과 결합한다. 각성의 심리는 상실애착과 상실혐오라는 비대칭의 대칭으로 구성된다. 상실애착 때문에 울음은 웃음보다 무거워 깨달음으로 이어진다. 상실혐오 때문에 패권문명은 깨달음의 울음보다 조증의 웃음을 택한다.


현대 자본주의 사회는 조증의 절정을 향해 치닫고 있다. 도구적·소비적 웃음이 넘쳐나는 오늘날, 웃음을 말하는 데 인문학적 관점만으로는 부족하다. 생태정치학비판이 필수다. 하물며 웃음을 불러일으키려는 의도와 구체적 무기를 장착한 유머임에랴. 각성과 변화 없이 쾌감만 남기고 허공에 소리로나 흩어질 웃음일 뿐이라면 유머가 더는 필요 없잖나.


생태정치학비판에서 웃음이 곤경(!)에 처했다면 짝패인 울음은 어떨까? 조증 처방이 울증이 아닌 것은 분명하지만 더 분명한 것은 웃음의 유머와 맞먹는 울음의 ‘무엇’이 없는 도저한 편향이다. 편향을 벗어나려면 엄숙한 의례와 질탕한 축제를 이어줄 울음의 ‘무엇’을 호명해야 하잖나. 변혁의 오르가즘과 방설의 울부짖음을 물적으로 만나게 하는 그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