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이 우리의 창을 두드렸다 - 세월호의 시간을 건너는 가족들의 육성기록
416세월호참사 작가기록단 지음 / 창비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97. 416 자체로 살아가기-헌정의 나날


어차피 1, 2년에 끝날 거 아니잖아. 난, 사람 자체가 세월호야. 긴 세월이니 오늘 또 살아내야지.(371쪽- 최윤민 엄마 박혜영)


최윤민이 죽음의 차원으로 실재하므로 박혜영은 오롯이 416 자체일 수 있다. 416 자체가 된 그는 개인적인 삶이 따로 분리되어 존재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모든 영역에서 그는 416의 화신으로 살아간다. 이것은 그의 전인격이 내린 규정이다. 극진한 헌정이다. 이 헌정에 힘입어 최윤민은 공적으로 부활한다.


98. 416 없이도 살아가기-나만의 꿈


수현이가 없는데 내가 뭔가를 해도 될까? 남편은 진상규명 얘기만 하는데 내가 꿈을 꿔도 될까?(373쪽-박수현 엄마 이영옥)


멸절이 아니긴 하지만 박수현은 이영옥의 눈앞에서 분명히 사라졌다. 이영옥의 꿈을 함께할 박수현은 이제 없지만 박수현이 일깨운 이영옥의 꿈은 여기 있다. 여기 있는 이영옥의 꿈을 박수현이 이제 없다고 접어야 하나. 박수현이 없어 이제 나만의 것이 되어버린 그 꿈을 계속 꾸는 것이 옳다. 이 꿈을 통해 박수현은 사적으로 부활한다.


99. 416 곁에서 살아가기-눈물 고인 작은 웃음


큰 행복을 바라지 않아요. 다만 호연이가 늘 우리 곁에 있는 것처럼 정말 편하게 웃고·······느끼며 살고 싶어요. (눈물 고인 작은 웃음) 새롭게 행복하고 싶어요.(375쪽- 김호연 엄마 유희순)


김호연은 없지만 있다. 없지만 있는 김호연이라서 유희순은 눈물 고인 작은 웃음을 지을 수 있다. 산 자가 죽은 자를 일상에서 감지함으로써 평안을 누릴 수 있다. 새로운 행복이다. 절대 상실을 관통한 역설의 행복이다. 욕심이 씻겨나간 맑은 기품을 지닌 삶에서 피어오르는 향이다. 그 향에 어우러져 김호연과 유희순은 공동체로 부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