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이 우리의 창을 두드렸다 - 세월호의 시간을 건너는 가족들의 육성기록
416세월호참사 작가기록단 지음 / 창비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장이 사장 부인인데 자꾸 시비를 거는 거예요. 그 전에는 이런 트러블이 없었는데 이상했어요. 알고 보니 아들 장례를 치르는 사이에 경찰관이 회사에 다녀갔다고 하더라고요. 경찰이 유가족 동향을 살피려고 왔던 거죠.·······사장이·······얘기를 하더라고요. 실장이 같이 일 못 하겠다 한다고. 그만뒀으면 좋겠다고. 알았다고 했죠. 나올 때도 실장하고 대판 싸우고 나왔어요.(296쪽-건우 아빠 김정윤)


검찰국가의 드물지 않은 살풍경 하나가 건우 아빠 김정윤이 사회적으로 살해당하는 이 사건과 겹쳐진다. “기업인 ㄱ은 경쟁 업체가 눈엣가시다. 지인을 통해 검사 ㄴ을 소개 받는다. ㄴ은 그 경쟁사를 내사한다. 거래 업체를 죄다 쑤셔 놓는다. 당연히 그 기업은 망한다. ㄱ이 헐값으로 인수하면서 상당 지분을 ㄴ에게 준다. 경우에 따라서는 ㄴ이 아예 그 기업을 인수한다.”


경찰은 대체 무슨 이유로 416유가족 동향을 살폈을까? 경찰한테 무슨 말을 들었기에 사장은 건우 아빠 김정윤을 쫓아냈을까? 식민지 시절 왜놈 경찰도 아니고 토착왜구 부역자도 아닌데·······아니, 아니다. 겉모습만 다를 뿐 저들은 여전히 왜놈 경찰이고 여전히 토착왜구 부역자다. 아베 총독이 호언한 노예교육 너머 미군정이 온존시킨 식민지 체제의 힘이다. 쫀쫀하다.


식민지체제의 쫀쫀함을 친일 연구의 선구자였던 임종국 선생은 “알게 모르게 일상을 파고들어 우리 주체성을 완전히 마비시켰다”고 지적했다. 지난 9일이 임종국 선생 30주기였는데 우리사회는 아직도 주체성이 마비된 채 매판이 짜 놓은 프레임에 빠져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연일 쏟아내는 공정 또는 평등 담론이 매판에 부역하는 것이란 사실을 아는 이가 드물다.


쫓겨나면서 건우 아빠 김정윤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지금은 어떻게 살아가고 있을까? 내 안타까움과 걱정이 전해지기야 할까만 이렇게 익명성에 저항하며 소리치기라도 해야 알게 모르게 틈을 내지 않겠나. 항일무장투쟁의 혈통으로서는 퍽 부족하지만 결결이 외쳐보는 소이다. 식민지체제의 쫀쫀함을 내 쫀쫀한 방울방울로 뚫어버리는 꿈을 꾸면서 지치지 말고 가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