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아이젠스타인 이야기를 다시 한다. 『신성한 경제학의 시대』가 내게 준 가장 큰 선물은 바로 이 것이다.


사랑은 익명으로 할 수 없다.”(446쪽)


이 말은 내 폐부 깊숙한 곳을 뒤흔든다. 그 동안, 차마 가 닿을 수 없었던 진실이다. 60년 남짓한 생애 기조가 익명성이었기 때문이다. 내 익명의 삶은 시원적 방치에서 시작되어 사회적 강권을 거쳐 마침내 자발적 중독으로까지 나아갔다.


있으나 불리지 않는 이름으로 살아온 시간의 누적은 나를 익명성 밑바닥에 납작하니 개켜 넣었다. 부피를 상실한 내 이름은 어디에 있어도 잘 드러나지 않았다. 무엇을 해도 내 이름은 거의 질문되지 않았다. 스스로 이름을 크게 외칠 때는 듣는 이가 없었다. 많은 사람 속에서는 이름 부를 목소리가 사라졌다. 익명성은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흐름에 맡기면 언제나 익명이 보장되는 가장자리로 나아갔다. 어쩌다 중심으로 흘러들면 익명은 돌연 요구가 된다. 그 요구에 속절없어진 나는 이름을 가리고 선사膳賜에 배어든다. 선사에 배어든 나는 무색투명해진다. 무색투명한 자가 건넨 선물이 연대의 고리가 될 리 없다. 연대 바깥에 선 자는 공동체 일원이 아니다. 나는 초월자연하는 국외자였다. 거대신의 헛된 그림자를 여전히 밟고 있었다. 나는 오만을 흉내 냈다. 나는 알아차리지 못한 채 인색에 빠져 있었다. 인색은 자기 착취다. 자기 착취는 이내 그 경계를 넘어간다. 경계 너머 남에게도 내게도 이름 자체가 선물이며 사랑이라는 진실을 느지막이 깨닫는다. 그렇다. 사랑한다는 것은 이름을 건다는 것이다. (이상의 내용은 2018년 1월 5일에 쓴<익명의 시대를 건너다>를 조금 고쳐 가져왔음.)


작고 적은 존재의 이름을 묻지 않는 것도, 이름을 짐짓 가린 채 초월자적으로 시혜하는 것도 모두 백색문명의 분리 이데올로기가 만들어낸 폐해며 허상이다. 나는 피해자임과 동시에 부역자였다. 이제 여기서 내가 해야 할 일은 내 작은 이름을 당당히 넉넉히 걸고 분리의 벽을 넘어가는 것이다. 선물로서 이름膳名을 번져가게 하는 것이 사랑이다. 그 사랑이 백색문명을 치유한다. 백색문명을 치유하는 것이 녹색의학이다. 녹색의학은 사랑의학이다. 사랑의학은 이 시대 천명天命의 이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