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 맑음

날짜 : 2014년 6월 29일

남미 대륙의 라이벌인 브라질과 칠레가 1시에 2014년 월드컵 첫 16강전을 펼쳤다. 칠레의 상파울리 감독은 경기 전에 “네덜란드는 힘들었지만 브라질은 자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만큼 브라질 축구에 대해서 잘 안다는 이야기이다. 거의 모든 세계의 축구팬들이 브라질의 압도적 우위를 예상했지만, 나는 닥공의 칠레 축구가 브라질에 당당히 맞서지 않을까 예상했다. 브라질은 경기 초반부터 9번에 문제가 있었다. 2002년 브라질의 9번이자 세계 최고의 스트라이커였던 호나우두, 2010년, 상대팀 골문의 단골 손님이자 골 결정력이 최고였던 루이스 파비아누 등등 브라질은 9번 선수가 정말 잘했었다. 하지만 이번에 브라질 리그에서 온 프레드는 문제가 있어보였다. 처음부터 결정적인 찬스를 몇 회 놓치고 공을 자주 뺏기면서 해설위원에게 많은 지적을 들었던 프레드는 몸이 아주 무거워보였다. 전반, 네이마르의 코너킥이 다비드 루이스의 배로 연결되어 선취골을 뽑아내며 환하게 웃는 모습을 보였지만, 그 뒤로 계속 부진한 모습을 보이다가 결국 21번의 조와 교체됐다. 브라질이 1:0으로 이기고 있는 상황, 브라질은 자기 진영에서 드로잉 공격을 했다. 하지만 브라질 수비수의 발에 잘못 맞아서 공은 칠레의 에이스이자 바르셀로나에서 메시의 백업인 알렉시스 산체스에게로 연결되었다. 산체스는 그 공을 정말 골키퍼가 막기 어려운 각도, 즉 골대의 바로 옆에 있는 그물로 때리며 동점골을 만들어내었다. 스코어는 1:1이 되었다. 이렇게 전후반이 끝나고 연장전이 되었다. 연장전에서도 두 팀은 승부차기를 원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1분 정도 남은 상황에서 칠레의 장신 스트라이커가 기가 막힌 중거리 슈팅을 뽑아냈다. 그 공은 줄리우 세자르 골키퍼의 위로 날아갔지만 정말 아쉽게 골포스트를 때리고 말았다. 이렇게 연장후반도 마무리되고 대망의 승부차기가 되었다. 브라질의 첫 번째 키커는 다비드 루이스였다. 이 선수는 첼시에서도 그렇고 수비수이지만 무회전 프리킥을 대단히 잘 차는 선수이다. 루이스는 공을 골키퍼의 오른쪽으로 날리며 브라보 골키퍼를 속였고 공은 손쉽게 들어갔다. 이제 칠레의 차례였다. 칠레는 수비수를 내보냈는데 이 수비수는 세자르 골키퍼를 속이며 공을 정면으로 차려고 했다. 하지만 세계 최고급의 반사신경을 지니고 있으며 몸을 미리 날리지 않고 공을 끝까지 보고 있었던 줄리우 세자르 골키퍼가 손으로 쳐냈다. 이렇게 스코어는 1:0이 되었다. 브라질의 두 번째 키커는 윌리안이었는데 첼시에서 엄청나게 좋은 활약을 펼치고 있는 선수였다. 윌리안은 골키퍼 브라보를 속이며 왼쪽 구석으로 차기를 시도했다. 하지만 그 공은 너무 옆쪽으로 가면서 빗나가고 말았다. 이제 여기서 산체스가 골을 넣으면 승부차기는 다시 원점이 되는 상황이었다. 칠레의 독보적인 에이스이자 오늘 경기에서도 엄청난 골 감각으로 세자르를 뚫었던 산체스는 공을 바라보았다. 하지만 그런 산체스를 바라보는 세자르 골키퍼의 눈도 만만치 않았다. 세자르 골키퍼는 승부차기를 시작하기 전에 감정에 북받쳐서 울었는데 그 장면을 보고 나는 세자르 골키퍼가 승부차기에서 잘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내 바람이 그대로 이루어진 것일까? 세자르는 자신의 오른쪽 구석으로 날아온 공을 손을 뻗으며 쳐냈고 브라질 부동의 수문장임을 드러냈다. 이제는 마르셀로의 차례였다. 월드컵 개막전에서 브라질의 역사상 월드컵 첫 경기에서의 첫 자책골을 기록한 마르셀로는 대담하게 골키퍼의 왼쪽을 보았다. 브라보 골키퍼의 손이 공쪽을 향했지만 공을 쳐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 다음에는 칠레의 공격수가 공을 찼는데 정말 놀라웠다. 엄청난 파워를 지닌 공은 정확하게 오른쪽 구석 위로 날아갔고 그 공은 그대로 빨려 들어가면서 골 그물을 찢어버릴 뻔했다. 이렇게 스코어는 2:1이 되었다. 브라질의 다음 키커는 헐크였다. 여기서 헐크가 골을 넣으면 브라질의 8강 진출이 거의 확정되는 상황이었다. 헐크는 이 두 팀을 통틀어서 가장 강력한 슈팅력을 가지고 있는 선수이기 때문에 나는 물론 해설위원들까지도 골이 거의 확실할 것이라고 보았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칠레의 수호신이자 올 시즌 바르셀로나에 입단한 클라우디오 브라보 골키퍼가 방향은 못 잡았지만 다리로 공을 쳐냈다. 헐크는 두 손으로 얼굴을 감싸쥐며 아쉬워 했고 화 잘내기로 유명한 브라질의 스콜라리 감독은 얼굴을 붉히면서 화를 냈다. 칠레의 4번째 키커가 성공하며 스코어는 2:2가 되었다. 이제 마지막 키커들의 성공 여부에 따라 8강 행방이 달라지는 상황이었다. 브라질의 마지막 키커는 펠레나 호나우두보단 못하지만 브라질 역대 최고급 클래스의 선수로 주목받고 있는 네이마르였다. 네이마르는 공을 향해 주춤주춤 다가갔다. 나는 2002년 한국과 스페인의 승부차기에서 스페인의 호아킨 선수가 네이마르처럼 주춤주춤 다가가다가 이운재 골키퍼에게 방향을 읽혀서 실축한 것을 보았기 때문에 이 공을 페널티킥 방어율이 매우 높은 브라보 골키퍼가 막아내지 않을까 예상했다. 하지만 이번 경기에서의 주춤주춤 수법은 먹혀들었다. 브라보 골키퍼는 몸을 날릴 방향을 정확하게 정하지 못했고 자신의 왼쪽으로 몸을 날려보았으나 공은 키퍼의 오른쪽으로 강하게 들어갔다. 이제 칠레의 마지막 키커가 골을 넣으면 승부차기가 계속되고 넣지 못한다면 칠레의 몇 개월 동안의 수고가 모두 헛수고가 되는 상황이었다. 칠레의 18번 선수는 공을 주는 심판을 보며 웃었지만 나에게는 그 웃음이 좋아서 웃는 웃음이 아니라 약간 얼이 빠져서 웃는 것으로 보였다. 이 선수는 공을 정확하게 찼지만 공은 골대에 맞고 나갔다. 개최국 브라질의 8강행이 확정되는 순간이었다. 칠레의 선수가 실축하는 순간 칠레의 선수들은 일제히 경기장 바닥에 쓰러졌고 브라질의 선수들은 달려와서 골키퍼 줄리우 세자르를 감싸며 기쁨을 만끽했다. 물론 브라질이 8강행을 확정짓긴 했지만 8강에서는 최강의 공격력을 자랑하는 콜롬비아와 맞붙게 될 것이다. 이 경기에서는 무엇보다 스트라이커의 역할이 중요할텐데 스콜라리 감독이 빨리 프레드를 훈련시켜서 제대로 된 스트라이커로 만들어내면 좋겠다. 그 경기에서 이긴다고 해도 4강전에서는 이번 대회에서 2경기에 8골을 만들어낸 프랑스나 유럽 최강이자 세계 최강이라고 불리는 독일과 맞붙게 될텐데 목표가 무조건 우승인 브라질에게는 정말 큰 문제일 수밖에 없다. 브라질이 하루빨리 문제점을 회복해서 "AGAIN 2002"를 외치는 것이 시급하다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날씨 : 맑음

날짜 : 2014년 6월 27일

한국과 벨기에의 조별 예선 마지막 경기가 5시에 열렸다. 우리나라는 러시아가 알제리를 1점차로 잡아주고 우리가 우리조의 시드 배정국일 정도로 강한 벨기에를 2점 이상으로 꺾어야하는 상황이었다. 때마침 벨기에가 2진 선수들을 내보낸다고 하니 우리나라에게는 아주 좋은 기회였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초반에 크게 압도하는 분위기가 아니었다. 스타 군단이라고 불리는 벨기에는 골키퍼 쿠르투아부터 우리나라의 선수들보다 몸값이 훨씬 높았다. 첼시의 스트라이커 아자르와 맨유의 펠라이니 장군(펠라이니의 별명)의 몸값은 우리나라의 선수들을 다 합친 것보다 더 높았다. 여하튼 벨기에는 아자르 대신 다른 선수를 내보냈다. 우리나라는 좋은 기회를 많이 잡았지만 슈팅을 하지 않았다. 메시라면 넣었을 좋은 중거리 슛이 가능한 거리에서도 우리나라 선수들은 개인기도 딸리면서 제치려고만 했다. 이 분위기는 전반 끝날 무렵, 벨기에의 한 선수가 김신욱을 밟으며 퇴장당한 후에도 계속되었다. 0:0으로 전반전이 끝났다. 후반전에는 오히려 우리나라가 밀렸다. 적 팀은 계속 위협적인 슈팅을 보이며 우리나라의 선수들과는 클래스가 다른 모습을 보였다. 결국 적 팀 선수의 슈팅을 김승규가 가까스로 쳐냈지만 우리나라 수비수가 적 팀 스트라이커를 아예 보지도 않고 있는 상황에서 그 선수가 공을 차 넣어서 골을 허용했다. 이 스코어는 경기가 끝날 때까지 계속되면서 우리나라는 1무 2패, 즉 H조 꼴찌로 브라질에서 짐을 싸게 되었다. 이 경기를 보면서 확실히 아무리 투지력이 압도적으로 뛰어나더라도 실력이 밀리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음부터는 우리나라가 중거리 슈팅도 자주 때리고(개인기로 드리블하려고 하지 말고, 드리블하려면 개인기를 메시처럼 키우던가...) 수비가 많이 향상된 모습 보여서 2018년 러시아 월드컵에서 좋은 활약 펼치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날씨 : 맑음

날짜 : 2014년 6월 26일

아르헨티나와 나이지리아가 16강 1위와 2위를 결정짓는 승부를 펼쳤다. 이 경기는 정말 재미있었다. 전반 3분만에 아르헨티나의 선수가 강한 슈팅을 때렸는데 옌예야마 골키퍼를 맞고 골대를 맞고 나왔다. 그 공을 세계 최고의 스타 리오넬 메시가 광속으로 달려오며 골문 위쪽으로 밀어넣었다. 하지만 1분 후, 나이지리아의 무사가 환상적인 골을 넣었다. 수비수를 제치고 각도가 별로 없는 거리에서 오른발 슈팅을 때렸는데 골대 살짝 옆 골문을 맞고 들어간 것이다. 이 골은 정말로 환상적이었다. 이렇게 전반전이 끝나나 싶더니 전반전 추가시간, 아르헨티나의 선수가 좋은 위치에서 프리킥을 만들었다. 메시는 이 공을 올리는 척 하다가 골키퍼의 반대쪽으로 공을 차 넣으면서 본인의 이번 월드컵 4번째 골이자 팀의 승리를 가져올 수 있는 골을 넣었다. 이렇게 전반전이 끝나고, 후반전에 다시 한번 무사가 해냈다. 동료와 원투 패스를 주고 받고 순식간에 골키퍼와 1:1 상황을 만들어서 동점골을 만들어낸 것이다. 이렇게 스코어는 2:2가 되었다. 결승골은 아르헨티나에서 나왔다. 아르헨티나의 선수의 절묘하고 날카로운 크로스를 아르헨티나의 수비수가 헤딩으로 밀어넣으며 팀에게 3 : 2 승리를 안겨주었다. 이렇게 경기가 끝났지만 나이지리아 선수들의 표정은 밝았다. 보스니아 헤르체코비아가 이란을 3:1로 꺾으며 나이지리아도 16강에 진출하게 됐기 때문이다. 물론 상대는 2경기에서 8골이나 기록한 프랑스이지만 말이다. 나이지리아는 이번 월드컵에서 16강에 진출한 유일한 아프리카팀이다. 물론 상대가 매우 강하긴 하지만 투지를 보여주며 프랑스를 꺾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날씨 : 맑음

날짜 : 2014년 6월 24일

크로아티아와 멕시코의 경기가 6월 24일 오전 5시에 열렸다. 이 경기는 A조 2위의 향방을 가르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경기였다. 두 팀 중 이 경기에서 패하는 팀은 무조건 16강 진출을 못하고 이기는 팀은 16강 진출이 확정되는 경기였다. 피파랭킹은 크로아티아가 18위, 멕시코가 20위로 크로아티아의 근소한 우세를 점칠 수 있었다. 실력이 비슷한 팀들답게 전반전에는 여러 찬스를 나눠가졌다. 크로아티아가 슈팅 수는 더 많았지만 위협적인 슈팅은 멕시코가 더 많았다. 하지만 크로아티아 역대 최고의 골키퍼 플레티코사, 브라질과의 경기와의 영웅인 오초아를 뚫지 못하며 전반전은 0:0으로 마무리되었다. 하지만 후반전에 무려 네 골이나 터졌는데 이 경기의 승자는 누구였을까? 바로 멕시코였다. 멕시코는 최강의 공격진들을 이용하여 슈팅으로 두 골, 헤딩으로 한 골을 만들어내었다. 크로아티아의 골키퍼가 전혀 손을 쓸 수 없는 구석으로 공을 찼기 때문에 아무도 크로아티아의 골키퍼를 원망할 수는 없었다. 이번 대회에서 가장 잘생긴 감독으로 불리는 크로아티아의 감독의 얼굴은 점점 일그러지고 있었다. 후반 35분경에 크로아티아의 선수가 멋진 개인기를 뽐내며 한 골을 만회했지만 별 의미가 없었다. 그리고 후반 추가시간에 있었던 크로아티아 선수의 완벽한 발리슛은 반사신경이 동물의 촉수 같이 뛰어난 오초아 골키퍼의 손에 살짝 닿으면서 벗어났다. 이렇게 멕시코가 3:1로 이겼다. 큰 점수차로 이겼기 때문에 조 1위로 16강에 진출할 수도 있었지만 같은 시각, 브라질이 카메룬에게 4:1 대승을 거두어서 그 과다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무튼 멕시코가 오늘 경기, 정말 대단한 경기력을 보여주었으니 네덜란드와의 16강전에서도 좋은 모습 보여주길 바란다.(그리고 우리 한국이 벨기에에게 2:0 이상으로 이기고 러시아가 알제리를 잡아주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날씨 : 맑음

날짜 : 2014년 6월 23일

우리 대한민국과 아프리카의 약체 알제리가 만났다. 우리나라는 강팀으로 평가되는 러시아와의 경기에서 매우 우세한 경기를 펼치며 1:1로 비겼기 때문에 이번 경기에서는 충분히 승산이 있을 것 같았다. 그리고 많은 베팅회사들도 대한민국의 우세를 점쳤다. 하지만 경기 내용은 러시아전에 비하여 엄청나게 떨어졌다. 초반부터 이어지는 알제리의 터프한 전방 압박 때문에 우리나라 선수들은 많이 밀렸다. 특히 우리나라의 수비수들은 알제리 선수 한 명을 세 명이서도 막지 못하면서 전체적으로 상당히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우리나라도 찬스가 많이 왔다. 중거리 슈팅을 때리면 넣을 수 있는 좋은 위치였는데 우리나라 선수들은 개인기를 펼쳐서 알제리 수비수들을 제치려고 했다.(개인기 면에 있어서는 훨씬 밀리는데 말이다.) 그 결과 알제리에게 26분 골을 허용했고 2분 후인 28분에도 코너킥에서 헤딩골을 허용했다. 이 정도만 먹으면 됐지, 우리나라의 수비수들은 정말 너무나도 못했다. 38분에 또 알제리 공격수가 우리나라의 허수아비 같은 수비수들을 간단히 제쳐내며 3:0을 만들었다. 이렇게 전반전이 끝났다. 후반전, 우리나라는 확실히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후반 5분, 우리나라의 유일한 희망인 손흥민이 화려한 페인팅을 보이며 상대 수비수 가랑이로 공을 밀어 넣었다. 이렇게 희망의 불씨가 보이는 듯 했으나 너무나도 독일이나 브라질에 비해 한참 떨어지는 우리나라 수비의 미스로 또 한 골을 먹고 말았다. 구자철이 한 골을 만회했지만 역부족이었다. 우리는 2:4로 지고 말았다. 내 생각에는 수비수들을 싹 바꾸면 어떨까 싶다. 이번 경기에서 우리나라 수비수들은 아마추어가 봐도 '정말 못한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정말 떨어지는 경기력을 보였다. 1:1 마크에 능하고 안전하게 걷어낼 수 있는 능력이 되는 수비수들을 벨기에전에 기용해서 좋은 모습 보여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