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남 이승만 평전 - 카리스마의 탄생 한국근현대학술총서 - 한국 근대 전환기 민족지도자 연구 1
이택선 지음 / 이조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승만에 대한 평가는 극과 극이다. 지금 40~50대에게 이승만에 대한 이미지를 만든 건 각급 국사교육, 대학의 선배들, 그리고 조정래의 『태백산맥』과 『아리랑』이 아닌가 한다. 끝없이 권력욕을 추구한 인간, 어느 조직에 가건 꼭대기에 앉아야 했기에 그 조직을 두쪽으로 만든 사람, 한반도 분단의 원흉, 전쟁이 발발하자 국민들을 안심시키는 방송을 내보내고 혼자 내튄 국가 원수, 4.3항쟁, 거창 양민 학살사건, 조봉암 법살, 부산정치파동과 사사오입개헌...


내가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생각보다 그에 대한 텍스트를 읽은 적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가장 최근에 접한 게 박시백의 『35년』인데, 아시다시피 한겨레 출신의 진보성향이 강한 작가라, 이승만에 대한 묘사가 위에 나열된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이 책은 결론부터 말하면 '이승만에 대한 변론'의 성격이 다분하다. 이승만이 공격받는 부분에 대해 상당한 개인적, 역사적 맥락, 리더십 이론 등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책이 출간되고 월간조선에서 인터뷰를 했으니 공격받기 딱 좋을 터. 그래도 이 책이 괜찮다고 보는 건, 그를 '독부'로 칭하는 등 치우친 모습을 보이는 김삼웅의 저서도 상당히 인용했고, '구국의 영웅', '선지자' 같은 종교적 표현도 없다('외교의 신'으로 칭했는데, 그 맥락은 뒤에 설명한다). 마키아벨리스트이자 미국의 (후대에 미어샤이머가 제창한 이론인) '공격적 현실주의'를 몸소 여러 번 체험한 카리스마적 리더라는게 저자의 대체적인 평인 듯 싶다.


구체적으로 몇가지만 살펴보자. 이승만이 끝없는 권력욕을 보인 것은 사실인데, 그 배경에는 양녕대군의 십몇대손이라는 자부심, 맏이/독자(형은 어릴 적 사망했다)의 리더십 이론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전명운-장인환 의거 당시 한인들이 변호를 부탁했으나 '개신교도로서 살인행위를 변호할 수 없다'는 일화가 유명한데, 박시백은 딱 거기서까지만 소개하는 반면, 이 책은 당시 논문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상태에서, 미국인 살인사건이 터지자 모든 조선인들을 '테러리스트' 취급하는 분위기 때문에 논문 심사를 거부당하고, 당시 아들도 사망했기 때문에 실의에 빠진 상태였다는 개인적 사정을 덧붙이고 있다.


전쟁 당시 거창 양민 학살사건과 국민방위군 사건은 최악의 실책은 맞은데, 책임자 몇몇을 사형에 처했고(나중에 승진시킨 이도 있긴 하다), 부산정치파동과 사사오입개헌 등 무리수를 둔 것은 후계를 노리던 자유당 이범석, 이기붕 등이 알아서 긴 것이며, 막판에는 판단력이 거의 흐려진데다, 경무관 등 '인의 장벽'에 둘러싸여 있었다는 점도 함께 감안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반면, 그의 업적인 토지개혁, 교육 정책 등은 까방권 인정. 그리고 전쟁 중 북진통일을 주장하며 한미 상호방위조약과 경제원조 등을 미국으로부터 이끌어내는 장면에서는 '허'하는 감탄사가 절로 나왔다. 전후 방미하여 행했던 의회연설은 그의 인생의 백미였다. 그는 가쓰라-태프트 밀약, (그의 스승이었던)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그리고 해방 후 남한을 극동방위선에서 제외한 것은 미국의 실책이었다고 집요하게 지적한다. 개신교도이면서 미국 박사학위 1호였다면, 미국 앞에서 설설 길 법도 한데(역시 미국 의회에서 영어로 연설했던 지금 대통령은 그렇게 한다), 엄청난 배짱을 부리면서도 필요한 것은 모두 취했다.


저자는 그의 몰락이 '카리스마적-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으로 전환되면서부터라고 본다. 오랜기간, 어이에도 소속되지 않고 세력도 형성하지 않는 단독자를 고집하던 당시 그의 카리스마에는 누구도 저항할 수 없었고 자발적 존경심을 이끌어냈다. 그의 세력을 만들기 위해 '자유당'을 창당하고, 이기붕 등 측근들의 충성심을 '인위적으로' 유도하게 되면서, 간신배가 날뛰게 되고 이것이 그를 역사의 죄인으로'만' 남게 한 것이다.


이승만의 실책들에 대해 살짝 옹호한 느낌은 들지만, 이렇게 모든 내용과 맥락들을 책상 위에 올려놓고 공론화하면서 각자의 판단에 맡기는 것은 매우 좋다. '이승만주의'가 '태극기'처럼 오용되는 것은 경계해야 하겠지만, 이승만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진보사관과 이승만주의가 극단에서 대립하는 등 '역사전쟁'이라고까지 하는 꼴불견, 해방전후사의 인식, 재인식, 재재인식, 재재재인식 하는 상황에서, 이렇게 다양한 관점을 제시한는 이 시리즈가 계속 편찬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안창호, 김구, 여운형, 조봉암 등도 다루었으면 한다. 저자는 『죽산 조봉암 평전』도 집필했던데 비매품이어서 구하기 어려운 점이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