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독서의 소득 중 하나라면, 제러미 리프킨의 낙관주의와 피터 자이한의 현실주의 사이에서 재3의 길을 발견한 거랄까? 좀 젊었을 때에는 리프킨이 제시하는 장밋빛 미래에 강하게 끌렸지만, 작년에 자이한을 통해 인정하고 싶지 않은 마키아벨리적 세계를 마주했다. 올해에는 다른 면을 또 보았다. 역시 좋은 책을 많이 읽어 봐야 한다.


뉴맵 ㅣ 대니얼 예긴 ㅣ 리더스북 ㅣ 2021

서점에서 집어들고 읽기 시작했다가 밤늦게까지 있었고 결국 구입해서 나왔다. 21세기 에너지 산업의 현재, 그리고 코로나 바이러스를 이후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으며, 패권을 둘러싼 각 국의 현재와 미래를 예측하고 있다. 이 책을 읽고나니 가스 공급을 둘러싸고 현재 벌어지고 있는 푸틴과 유럽 간 갈등, 일촉즉발의 지역 남중국해, 중동과 아프간의 현재 등이 보였다. 다만 아마존 평점은 그의 이전 저작에 비해 후하지 않은 것 같다. 나도 이 저자가 얼마나 대단한 사람인지는, 그 책들을 읽고나서야 비로소 깨달았다.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 ㅣ 리사 펠드먼 배럿 ㅣ 더퀘스트 ㅣ 2021

이 책은 뇌과학을 통해, 뇌가 '예측기관'이며, 뇌를 통해 우리 몸이 작동하는 기제는 상식과 매우 다름을 보여주고 있다. 나아가 뇌의 이러한 작동원리로 인해 초래되는 부정적인 사회현상을 거론하면서, 그것을 완화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다. 얇은 책이지만 상당히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었다. 다음이 아니었더라면 2021년 출간되어 읽은 최고의 책으로 이것을 꼽았을 것 같다.  *강양구 기자 추천





그리드 ㅣ 그레천 바크 ㅣ 동아시아 ㅣ 2021

원서 출간연도는 조금 되었지만, 굉장히 시의성이 높다. 마침 올여름 폭염으로 인해 블랙아웃이 오느냐 마느냐로 언론에서 갑론을박 하던 시기에 읽었기에 더욱 피부에 와 닿았다. 올해 에너지 관련 서적을 주로 읽었지만, 에너지(전기) 공급망(그리드)을 뗴어내 중점적으로 다룬 것도 이 책만의 매력. 에디슨으로부터 시작된 그리드의 역사, 그리고 분산형 에너지 공급체계 실현을 위한 앞으로의 그리드 형태를 제안하고 있다. 우리나라 '송전탑 문제'에 대해서도 많은 것을 시사한다. 저자가 공학자가 아닌 인류학자라는 점도 놀랍다.  *강양구 기자 추천



황금의 샘(The Prize) l 대니얼 예긴 ㅣ 라의눈 ㅣ 2017

2021년 읽은 것 중 단 하나를 꼽으라면 바로 이 책이다. 1990년대 초반 출간되어 퓰리처상을 수상하고, 2013년 경 증보판이 나왔지만, 에너지의 역사, 석유의 역사와 그를 둘러싼 패권다툼을 이토록 대중적으로 깊이 있게 다룬 것은 아마 없을 것 같다. 드레이크 대령의 석유 시추부터, 록펠러의 스탠더드 오일 설립, 양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석유가 국가지도자들에게 얼마나 중요한 것으로 발전해 왔는지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무엇보다, 작가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석유 또는 그를 통해 획득한 패권보다는 석유를 찾는 모험 자체가 아닌가 싶다. 이 책은 석유 개발에 뛰어든 수많은 혁신적 기업가들의 열전(列傳)이다.    



2030 에너지 전쟁(The Quest) l 대니얼 예긴 ㅣ 올 ㅣ 2013

올해 읽은 최고의 책으로 The Prize와 함께 이것을 마지막까지 고민했더랬다. The Prize가 현대 에너지의 '역사'를 다루는 데 비해, 이 책은 석유의 현재와, 기후변화 이슈 이후 천연가스, 셰일, 원자력, 전기, 에너지 효율, 수소 등 대안에너지까지 포괄적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투자'를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 책을 더 높이 평가할 수 있겠다. 제러미 리프킨이 수소 등 미래에너지들을 매우 높게 평가한 데 비해, 여기서는 각 에너지별로 시장에서 논의되는 정도 분량으로 할당하고 있어 신뢰도가 좀 더 높다. 절판인 게 아쉬울 뿐이라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