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멘트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조동섭 옮김 / 밝은세상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약중독자에 동성애자, 알스테어란 인물은 나로선 적응하기 엄청 힘든 상대다.

또한 페트라의 결혼과 해첸과의 일을 어떻게 봐야 할지 모르겠다.

서양인들에겐 정말로 과거란 지나버린 일에 불과한 것일까?

 

난 아무리 현재 그가 없으면 죽을 것 같더라도 페트라와 유사한 과거가 있다는 것을

알면 곧장 마음이 돌아설 것 같은데 토마스 네스비트는 그러해 보이지 않는다.

문화의 차이란 참으로 기가 막힌다는 걸 절감한다.

 

 

"공포와 신경과민이 만연한 감시사회에 발을 담그면 이런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누구를 믿어야 할지, 무엇을 믿어야 할지 전혀 알 수 없게 된다.

의심, 불신, 불확실. 이것이 동독사회를 이루는 삼위일체였다."

 

북한을 생각나게 하는 대목이다.

이런 고통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민족이 아직 우리의 북쪽에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에

새삼 슬퍼지려 한다. 나는 남쪽에 살고 있음이 고맙다.

 

작가는 한편의 첩보영화를 보는 듯한 긴박함을 한시도 놓치지 않더라.

595쪽에 달하는 다소 두꺼운 분량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은 어서 읽어 나가고 싶은

충동을 계속 느끼었으니 말이다.

초반에 알스테어를 처음 만나서 나누는 대화에 상당한 매력을 느꼈다.

무엇보다 나의 마음을 끄는 것은 주인공의 직업이더라. 여행작가... 너무 멋진 말이다.

나의 꿈인 단어이다. 여행작가... 작가는 터무니없고 여행가만 되어도 족하겠네.

 

소설은 항상 잘 잊혀지더라. 베를린 장벽을 두고 이런 이야기도 있을 수 있구나...라는 것

외에 딱히 내가 느껴지는 것은 별로 없다. 작가가 훌륭하게 잘 엮었다는 것, 또 뭐가 있을까...

미국인들이 책을 쓸 때 엄청난 독서량을 자랑이라도 하듯 주석을 엄청나게도 단다는

비아냥거림을 보고 '거의 모든 것의 역사'를 읽었을 때가 생각났다. 난 작가의 해박함에

감탄했지 그것이 미국적 냄새라는 것까지는 생각할 수 없었다는 것,  번역이 상당히 잘 된 것

같다는 것...

이렇듯 소설은 항상 대단한 작가의 역량을 접하는 것이 전부가 된다. 그리곤 곧 잊혀지더라.

소설이란 내게 늘 이러하다.

 

John이란 이름이 '존'으로 나와서 처음엔 뭔말인가 했다. 영어로 그대로 적던지 아님 '죤'

정도로 해두면 이름으로 생각하기 훨 쉬웠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행운 - 내 인생에서 놓쳐선 안 될
대린 맥코웬 외 지음, 안종설.고도원 옮김 / 흐름출판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수 십 가지의 성공신화가 나열 되어 있다.

내가 궁금했던 것은 서너 페이지에 달하는 짧은 그들 각각의 성공 신화가 아니라 그들이 성공을

하게 된 구체적인 계기라든가, 기회를 어떻게 포착할 수 있었으며, 실패와 좌절은 어떻게 극복했

을까가 차라리 더 기대 되는 것이었건만 책이 끝날 때까지 내 속을 시원하게 해주는 것은 없어서

마지막 몇 장은 겉핥기로 읽어 버리고 덮었다.

제목의 1%행운이란 이 책의 어디에 있었던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큰 불이 났었다.

바람은 여기저기로 불이 펄쩍펄쩍 뛰어 다닐 수 있게 한다는 걸 얼마나 두렵게 실감했는지...

바로 집앞에 있는 이쁜 산은 모두 타버려서 지금은 살아 있는 나무가 없다.

 

큰 불이 온 포항을 뒤 덮던 날, 난 대로로 나와 대피해 있었다. 

열려진 베란다로 불씨가 날아 들어간 우리 아파트의 한 집에선 시커먼 연기가 사정없이 뿜어져

나왔고, 그 시커먼 연기가 짙을수록, 많을수록 우리의 공포는 점점 더해져 갔다. 

이러다 온 도시가 잿더미로 변해 버리는 건 아닌가......누구나 이런 생각을 하였으리라!

 

소방대원들의 노고를 이때 알았다. 한번도 그들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없었는데...

긴급한 하루를 위해 364일을 항상 준비해야하는 사람들, 언제나 비상사태만이 그들의 일인

사람들이 그들 아닐까? 

그들로 인해 불은 어지간히 잡혔고, 연기도 차츰 사그러들 즈음엔 해도 뉘엿뉘엿 저물고 있어

집으로 향했다. 이만하길 참으로 다행이다 싶은 감사한 마음을 가득 안고서, 소방대원들의

노고를 거듭 새겨 보면서...

 

그런데 우리동 앞에 이르니 우리동 주민들이 합세하여 진화를 돕고 있었던 게 아닌가!

그들은 대피한게 아니라 자체 소방호스를 들고 앞산 진화작업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몹시 부끄러운 생각이 들었다. 진화는 소방대원들만 해야 하는 일이라고 나는 막연히 생각하고

있었나 보다. 중고등학생들도 흙투성이가 되어 거들고 있던 그 모습에서  순간 가슴이 뻑뻑해

짐을 느꼈다. 얼른 나도 옷을 갈아 입고 내려 왔으나 거의 도울 일은 없었다. 마무리 된 것이다.

 

..............................................................................................................................

 

 

아파트가 무인 경비시스템으로 바뀌어서 불편한 점이 한둘이 아니다.

짐이 많을때 역시 자동으로 닫혀 버리는 문 때문에 여간 성가시지 않다.

그날도 무거운 쌀자루, 가득찬 큰 장바구니, 과일 상자로 짐이 무척 많았고 한꺼번에 모두 현관

안쪽, 엘리베이트 앞으로 들여 놓을 수가 없어 현관 자동문 바깥쪽에 모두 내려 두고 지하 주차장

으로 주차하러 갔다. 그런데 올라와 보니 누군가가 내 짐을 모두 자동문 안쪽, 엘리베이트 앞으로

옮겨 둔게 아닌가! 나의 감동은 산불 진화작업을 우리 동 주민들이 합세하여 행하는 것을 본 것처

럼 진하고 뻑뻑한 것이었다. 얼마나 따스한 느낌이더란 말인가!

 

..............................................................................................................................

 

우리집에서 모처럼 반상회를 했다.

반상회란 늘 그렇듯이 좋은 이야기보다는 불평과 불만의 토로가 더 많은 법이다.

그래서 나는 최근의 나의 뻑뻑했던 가슴을 열어 보이고 감사의 마음을 기껍게 전하고 싶었으나

못. 했. 다.  우리 통로엔 나보다 연배가 많으신 분들이 많다. 그래서인지 섣불리 입이 떨어지질

않더라. 아~ 아쉽다. 요즘은 반상회도 일년에 몇 번 하지 않는데 말이다. 해서 이렇게 일기로

라도 남겨 놓고 싶다. 나는 우리 아파트가 참 좋다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2013-04-02 0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사람들과 좋은 이야기
늘 오순도순 나눌 수 있겠네요.
앞으로 다음 자리에서는
조곤조곤 고운 마음 들려주면서
불평 불만 같은 말에서
새로운 이야기 나눌 수 있으리라 생각해요.

Grace 2013-04-03 08:41   좋아요 0 | URL
많은 사람들 앞에 선다는 것은 떨리는 일이더라구요!
특히나 저보다 연배 있으신 분들 앞에서는 더욱...ㅎㅎ
다음 반상회때는 용기를 한번 내어 볼까요?^^
 
종의 기원 - 쥐와 소나무와 돌의 혈통에 관한 이야기 너머학교 고전교실 5
박성관 지음, 강전희 그림 / 웅진주니어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다윈의 종의 기원에 근거하지 말고 자신의 글로 책을 엮었더라면 더 좋았을것을 싶다.

제목에 혹해서 친구집에 있던 책을 빌렸는데 종의 기원에 대한 부분보다는 자신의

글이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 같다.

아이들은 이 책을 흥미롭게 읽었을까가 궁금하다.

책읽기 프로그램 J단계란다...

이런 단계는 무엇이 기준이더란 말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 번을 흔들려야 어른이 된다 - 세상에 첫발을 내디딘 어른아이에게
김난도 지음 / 오우아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득하니 읽은 듯 한데 책을 덮은 지금은 머리 속이 하얗다.

그랬으면 얼마나 좋았을까를 생각하며 끄덕이었지만 책을 덮은 지금은 하얗다.

 

요즘은 독후감쓰기가 버겁다.

말이, 글이 떠올라지지를 않는다.

그저 머리 속이 하얄뿐이다.

나이 탓이려니.....하면서 그저 한 권을 덮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