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몰입 - 눈앞의 성취부터 붙잡는 힘
로버트 트위거 지음, 정미나 옮김 / 더퀘스트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F 작은 몰입 ㅡ로버트 트위거 , 정미나 옮김 , 더퀘스트

메이브 빈치의 소설 [ 그 겨울의 일주일 ]에 나오는 넬 하우가 문득 생각났다 . 그녀는 정년을 맞아 평생을 몸담고 있던 교직에서 은퇴해 교직원들의 은퇴 선물로 스톤하우스 숙박 티켓을 선물 받는다 . 여행을 떠나기 전의 삶을 보면 그녀는 세상의 일에 철저히 무관심한 사람으로 그려진다 .  마음이 아무리 닫힌 사람이라도 오랜 시간 세상살이를 하다보면 어딘가에 마음을 , 시선을 주기 마련인데 그녀는 스스로 그런 가능성조차를 차단하고 살아간다 . 그런 사람은 기회가 와도 , 변화의 문이 열려도 그 문 앞에 서지 않는다 . 한 걸음만 내딛어도 풍경이 바뀌고 관계가 만들어 질 수 있는데도 그런 기회를 똑바로 쳐다보지 못한다 . 주저하는 마음을 아주 조금만 움직여도 삶이 바뀔 수 있는데 말이다 . 그녀는 자신에게 주어진 선물의 시간을 그냥 허비하고 만다 .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소설 [ 비둘기 ] 에 보면 넬 하우처럼 자신의 삶을 아주 간신히 이어갈 수 있는 여건임에도 그에 만족하고 변화를 원치 않는 주인공 조나단 노엘이 나온다 . 그의 삶에 변화를 가져온 건 그저 새 한마리 , 비둘기 한마리 였었다 . 그 새 한마리가 두려워 그는 쭉 고수해오던 익숙한 삶의 패턴을 허물게 된다 .

패턴을 허무는 계기 , 조나단 노엘의 비둘기가 아니어도 넬 하우처럼 스톤하우스 티켓이 아니어도 우리에겐 그런 기회를 잡을 순간들이 매 순간 찾아온다 . 그게 불행의 사건이든 행복하고 소소한 사건이든 그저 다가 온 기회를 두려워 않고 덥썩 잡기만 하면 되는 그런 시대를 살고 있다 . 아무리 세상이 각박해지고 여유가 없다해도 지금의 세상은 이 책 속에 표현된 근대의 시대가 아닌 탓에 더 많은 기회에 노출되어 있다 .

이 책에 표현된 ' 쓰담쓰담 ㅡ 토닥토닥 장애 ' 를  기회와 환경이라는 걸로 놓고 다시 생각해본다 . 마음과 몸을 움직일 수 있는 주체가 환경을 핑게로 시간이 없고 돈이 없고  , 아니면 그저 너무 지쳐서 무기력해 장애 그 자체가 된다고 생각해보면 어떨까 . 그저 배를 둥글게 쓰다듬으며 동시에 머리를 치는 행위는 단순한 몸의 저항 현상이 아닌 사회적 정체 현상이 될 수도 있다 . 개인이 곧 사회이기 때문에 그렇다 . 개인의 행복 지수가 높아야 사회 전반의 행복 지수도 올라간다 . 그런데 이 편리한 첨단과 시스템의 시대에도 사람들은 시스템의 부품이 되느라 자기를 돌볼 시간조차를 아낀다면 그건 국가적 , 인류사적으로도 매우 불행한 일일것이다 . 미래의 어느 시대쯤에 우리 후손이 호모 사피엔스를 검색했는데 그 정의가 시스템의 부품이 된 슬기로운 (?) 인류 라고 쓰여있다면 어떻겠는가 .

이 책은 작은 몰입 , 즉 개인이 삶에 집중할 수 있는 기회를 찾음은 물론이고 그에 대한 요령을 여러 사례를 들어 위트있게 보여주고 있다 . 책에서처럼 꼭 동그라미를 그리고 오믈렛를 만들고 로프을 타며 검을 휘두를 필요까진 없겠지만 , 뭔가가 변하는 현상을 주의깊게 바라볼 시점 , 초점이 생기는 데엔 많고 큰 것이 필요치 않다는 것을 열정적으로 보여주면서 읽는 이에게 소소한 즐거움을 준다 . 다만 책에서 저격하는 1만 시간의 법칙은 꼭 이 책엔 필요없는 뱀의 다리 같았다 . 어쨌거나 저자 스스로가 몰입하며 우리에게 예시로 든 많은 일들 대게가 시간을 공들여 투자해야 하는 일인데 아주 쉽죠 ~ 하는 건 어폐가 있어 보인다 . 자연히 그에 대한 반발심을 동시에 불러오는 표현 같았기 때문이다 .

좀 몰입하기 어려운 책 뒤에 읽어서 그랬는지 몰라도 나는 참 재미있게 읽었다 . 저자가 나 , 능력자야 ! 그래보이지 하는 으스댐 마저 꽤 귀엽게 느껴지기도 했으니 말이다 . 작은 몰입 덕에 작은 웃음을 저자 덕에 지어보게 된 시간이었다 .

1만 시간의 법칙대로 한 우물만 죽어라 파서 어떤 분야의 ‘ 끝판왕 ‘ 이 돼야 할까 ? 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 노벨상 수상자를 비롯하여 소위 크게 성공한 인재들은 새로운 것을 배우는 데 시간을 아끼지 않는다 .

빠른 결과를 내야 하는 부담 없이 천천히 , 다양하게 시도해볼 수 있는 재미도 마이크로마스터리의 특징이자 장점이다 . 그것을 해내는 데 유연성을 발휘하여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볼 수 있다 . 그 과정에서 우리는 뇌의 다감각적 뉴런에 호소하는 3차원 방식으로 학습을 하게 된다 .
(본문 13 쪽 )

신경 기능과 관련된 최근의 조사에서 뇌의 상당 부분이 다감각적 신경세포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다시 말해 후각을 담당하는 뇌세포와 시각을 담당하는 뇌세포가 따로 구별되어 있지 않으며 , 후각과 시각의 입력 정보 모두를 똑같은 세포에서 처리하기도 한다는 얘기다 . 이를 미루어 보았을 때 인간은 보다 다차원적이고 다감각적일 때 잘 배울 수 있다 .
(본문 41 , 42 쪽 )

뇌는 감각을 따로 처리하지 않는다 . 대부분의 뇌세포들은 청각 , 촉각 , 후각을 비롯해 심지어 고통까지도 동시에 기록한다 . 이런 맥락이라면 지능 역시 분류되어 있지 않고 고도로 연결되어 있다는 개념이 더욱 선명해진다 . 인간의 여러 감각들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한다 .
(본문 55 , 56 쪽 )

근대 이전의 시대엔 누구나 다재다능하게 살았다 . 필요한 것들을 직접 만들고 고치는 기술이 사는 데 있어 반드시 필요했던 까닭이다 . 당시 사람들은 놀 때도 직접적인 활동과 사고를 수반했다 . 이러한 다재다능적 삶의 기반을 지금의 교통 , 통신 , 오락이 제공하는 용이함과 편안함이 허물어뜨리고 있다 . 근대 이전의 기분으로 보자면 푸줏간 주인이나 은행가 , 광부의 아내는 얼마든지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나 출증한 수채화가가 될 수 있었지만 현재의 편리함이 그런 그런 가능성을 무너뜨리고 있다 . 누구의 마음에나 있는 잠재성 , 마이크로마스터리가 되찾아준다면 어떻겠는가 ?
(본문 81 쪽 )

이 책은 성공과 행복에 이르는 숨겨진 길을 보여주겠다는 매혹적인 약속이다 . 그 길이 숨겨진 이유는 우리가 그 길을 감추고 있기 때문이다 . 우리는 그 길이 어렵고 복잡하고 돈이 들고 시간이 든다는 이유로 감추고 있다 . 흥미를 가질 자유가 허용되지 않는 모든 것이 우리에겐 숨겨진 길이다 .
모든 것은 흥미에서 시작된다 . 흥미를 느끼지 않으면 거들떠보지도 않고 배우지도 않게 된다 . 행복한 사람들은 이런저런 흥밋거리를 가지고 있다 . 심각할 정도로 모든 일에 흥미가 없다면 그건 우울증의 한 증상이다 .
(본문 251 쪽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