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월 바다 ㅣ 창비시선 403
도종환 지음 / 창비 / 2016년 9월
평점 :
내 소 사
내소사 다녀왔으므로 내소사 안다고 해도 될까
전나무 숲길 오래 걸었으므로
삼층석탑 전신 속속들이 보았으므로
백의관음보살좌상 눈부처로 있었으므로
단청 지운 맨얼굴을 사랑하였으므로
내소사도 나를 사랑한다고 믿어도 될까
깊고 긴 숲 지나
요사채 안쪽까지 드나들 수 있었으므로
나는 특별히 사랑받고 있다고 믿었다
그가 붉은 단풍으로 절정의 시간을 지날 때나
능가산 품에 깃들여 고즈넉할 때는 나도
그로 인해 깊어지고 있었으므로
그의 배경이 되어주는 푸른 하늘까지
다 안다고 말하곤 했었다
정작 그의 적막을 모르면서
종양이 자라는 것 같은 세월을 함께 보내지 않았으면서
그의 오래된 내상 (內傷) 과 함께 있지 않았으면서
그가 왜 직소폭포 같은 걸 내면에 지니고 있는지
그의 내면 곳곳이 왜 낭떠러지인지 알지 못하면서
어찌 사랑이라 말할 수 있을까
그의 곁에 사월 꽃등 행렬 가득하였으므로
그의 기둥과 주춧돌 하나까지 사랑스러웠으므로
사랑했다 말할 수 있을까
해 기울면 그의 그리움이
어느 산기슭과 벼랑을 헤매다 오는지 알지 못하면서
포(包)* 하나가 채워지지 않은 그의 법당이
몇백년을 어떻게 버틸 수 있었는지 알지 못하면서
그의 흐느낌 그의 살에 떨어진 촛농도 모르면서
*공포 (栱包) : 처마의 무게를 받치려고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댄
나무쪽 .
ㅡ본문 10 / 11 쪽에서 ㅡ
도종환 시집 ㅡ[사월바다] 중에
읽을 때는 무심히 지나친 싯귀들 였다 .
요즘은 밤 잠자리에서 오디오북으로 타이머를 해놓고
시를 듣는다 . 성우인듯 싶은 이의 목소리와 어조가
지나친 시를 다시 꺼내들게 만들었다 .
오랜시간을 보았다고 안다고 할 수 없다 .
자신이 깊은 애정을 가졌으니 그 상대 역시 그럴거란 법이 없다
.
내 몸짓이나 애정이 받아들여 지지 않는다고 , 그것이 사랑이 아니란 법도
없다 .
내가 알고 있던 것은 늘 순간이고 , 진심이나 진정으로 믿는 마음 뿐
.
나 혼자 상처받고 아픈 거라는 법도 없다는 말처럼 들려서
,
준 적 없는 위로를 이 세상으로부터 받는다 .
감사해야지 .
길가의 차소리들이 파도 소리 처럼 가까웠다 멀어지는 시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