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세상을 리셋하고 싶습니다
엄기호 지음 / 창비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02 ㅡ 리셋을 부르는 세상 .

 

ㅡ2장 , 모욕을 선물하는 사회

 

[태초에 ' 아니오' 가 있었다 ]

 

이 모욕의 고리를 끊는 것은 주는 것을 받지 않는 것이다 . ' 아니오 ' 라고  말하는 것이다 . 그러한 예는 불교의 경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불교 초기 경전인 『 빠알리경전 』에 나오는 이야기다 . 부처가 죽림정사에 계실 때 브라만인 악꼬사까가 자기 가문의 한 브라만이 부처에게 출가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부처를 찾아와서 거친 욕설을 퍼부었다 . 그 욕을 듣고 부처는 악꼬사까에게 당신의 집에 친구나 동료들이 방문하러 오는지를 물었다 . 그가 그렇다고 하자 부처는 그들에게 다과나 음식을 대접하는지를 물었다 . 어떤 때는 대접한다고 하자 만일 그들이 그 음식을 받지 않는다면 그 음식은 누구의 것이냐고 또 물었다 . 그가 자기가 대접한 이들이 음식을 받지 않으면 그것은 자기의 것이라고 대답하자 부처는 악꼬사까에게 당신이 준 욕을 내가 받지 않았으니 그 욕은 모두 당신의 것이라고 답했다 .

 

그러나 모욕의 사슬이 된 사회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 아니오 ' 대신 ' 예 ' 라고 말해야 한다 . ' 아니오 ' 는 세상을 부정하고 세상과 불화하는 언어가 아닌 자신을 부정하고 자신과 불화하는 대답이어야 한다 . 손님의 진상 짓이 아니라 그것을 참지 못한 자신을 부정해야 한다 . 그 진상 짓조차 참을 수 있을 때 서비스 산업에서 일하고 성공할 수 있는 자격 조건이 생기기 때문이다 . ' 아니오 ' 가 사라지면서 같이 사라진 것이 근대적 주체의 존엄이다 .

 

ㅡ본문 104 / 105 쪽에서 ㅡ

 

어쩌다 모욕을 자신보다 약자인 세계에 전달하는것이 당연한 세상이 되었는지 , 한탄스럽다 .

갑질이라고도 하는 진상 차원의 일이 대체 자신에게 무슨 도움이 된다고 , 그러지 않으면 살 수 없다는 듯

행동하게 된걸까 ... 주어도 받지 않으면 된다는 부처의 말이 오래 생각이 나서 , 옮겨본다 .

 

(yuelb17@naver.com)

#창비톡#책읽는당#12월선정도서미션#엄기호#나는세상을리셋하고싶습니다#창비#12월3주차문장공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