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사냥

제목이 심상찮죠...아무래도~!
위화감이라고 하는데 선그라스 부터 였죠.
아니 누군지 모르는 상담 전화가 계속 반복되는게
아마도 힌트 였을겁니다.
그래서 아 ..이들이구나..
아픈 사람들이...
이유도 역시 그럴듯한 정당성을 들어 열변을 토하고
설득력을 갖추고 있죠.
그래서 더 불안 불안 했어요.
해충구제 작업이라는 그 이력 ㅡ
어쩐지 ㅡ아귀가 맞을 것만 같았다ㅡ함
이것도 이쪽을 너무 읽은 탓 입니다.
그럴 줄 알았어 ..하는 건.
다만 그들의 끝은 ..
그 애매모호한 상담도 뭣도 아닌 전화가 결국 이어지고
있다는 것에서 (불길한 - 예감 ) 실이 끊어지지 않은 듯한
감이 오는데 결정적인 순간에 총에 맞고 병원에 실려간
마미하라 고키는 그 오노와 요코는 그 숲에서 잠든 것으로
종결짓고 말아서...맥이 탁 풀리는 면이 있었고
어쩌면 , 그가 사회 악들과 싸우는 어떤 면에서 일부는
선과 일부는 악과 양립했던 것처럼 그들도 심리적 종결
을 지어 버리고 만 것은 아닌가 ㅡ
마치 ㅡ덱스터 처럼 ㅡ
정말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가정에 대한 어떤 구제의 방편으로 ..

아이네 가족은 결국 부모가 흔들흔들 나약해서 외부가 더
강하게 아이를 지키려는 힘의 작용과 행운으로 일단 분리되고
아이는 조금 성숙한 시간이 된 듯합니다.
갑갑 선생 이던 스도 슌스케는 이제 걱정 안해도 될 만큼
안정적이고,
히자키 유코 역시 열혈성이 좀 지나친 감과
돌파구 없어 헤매는 충동적 성향은 있으나
제법 사회적인 성인을 또 한번의 탈피를 한 것 같아 안도 했어요 . 굉장히 멋있는 캐릭터인데 중간에 사회복지시스템과
맞물리면서 요코의 공격에 절절 매면서 부턴 갈팡질팡 하는 모습이
딱 지금 이 사회의 엄마같은 ㅡ
머리에 든건 많고 알고 있지만 무기력한
매번 좌절하면서도, 분노 역시 반복하는
그녀에게 박수를 쳐주고 싶었달까요.

그리고 잊고있던 국민 개인 개인의 힘 ㅡ
주권이란 것.
너무 엄청나거나 손댈 수 없는 상황이 되면
더 큰 기관에서 정부에서 관청이나 단체에서
해줄수 있는게 당연히 있어야 한다고
하는 것도 분명 우리 권리인데
그게 당연하다 보니 위에서 내려오는 어떤 정책들에
반발없이 잘 따르는 국민이 되었다는 그 말에
아..알고 있구나 적어도 여기는..하는 가슴쓰림 ㅡ
자성 끝에 내놓은 작가 스스로의 해답이랄까 ㅡ하는 것.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행복하자 2016-01-05 21: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텐도아라타.. 옛날에 영원의 아이를 보고 충!! 격!! 이런 소설이 가능하다니!!!!
음...전 이런 쪽이 경향인가봐요. 오츠도 좀비보다 대디러브가 더 좋았어요~

[그장소] 2016-01-06 03:31   좋아요 0 | URL
저도요!좀비보다 대디러브 ㅡ^^
다음 책 읽고싶어요!^^
이 책은 개작버전인데 1995년 판도
한번 읽고싶어요.
좀더 압축된것이겠지만 .
어떤 변화가 있었나 ..싶어서..ㅎㅎ
지금 행복하자님 ~~쌩유~!단잠되세요!